[데스크칼럼]중국산 수입식품 총체적 안전장치 마련 시급
[데스크칼럼]중국산 수입식품 총체적 안전장치 마련 시급
  • 김현옥 기자
  • 승인 2005.10.01 07: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옥 편집국장

중국산 수입식품 안전망에 총체적인 구멍이 뚫려 먹을거리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김치에 이어 차는 물론 찐쌀에서도 납 카드뮴 등 중금속 성분이 검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수산물에서는 몇 년 전 납과 볼트 등이 들어 있는 중국산 조기와 꽃게로 시끄럽게 하더니 지난 9월 초엔 장어 잉어 붕어에 이르기까지 발암물질이 검출돼 한바탕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제 중국산 수입식품이라면 어느 것 하나 맘 놓고 먹을 수 없는 상황이 돼 버렸다. 게다가 이들 수입식품에 대한 원산지 표시 규정이 없어 소비자들은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이 국산인지 중국산인지 구별조차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올 들어 중국산 농산물 수입량은 8월 말 현재 720만 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55.2%나 늘었다는 정부 통계치를 굳이 밝히지 않더라도 이를 원료로 한 중국산 수입식품은 오래 전부터 알게 모르게 우리의 식탁을 점령해 왔다.

해마다 급증하는 수입 물량은 이를 대변해 준다. 중국산 옥수수의 경우 올해 작년보다 3배나 많은 416만 톤이 들어왔고 된장은 739톤으로 2.6배, 고추장은 145톤으로 5.6배나 늘었다.

대다수 식당에서 내놓고 있는 중국산 김치도 7만850여 톤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농림부가 지난 8월 서울·경기지역 한식업소 8만여 곳을 대상으로 김치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절반 가량이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기름 고추 표고버섯 마늘 참깨 땅콩 등 각종 양념류의 수입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단체급식과 김밥 등 다양한 용도를 쓰이는 찐쌀 역시 지난 한 해 동안 수입된 9633톤 중 95%가 중국산으로 거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요가 있기에 공급량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지사. 무엇보다 국산에 비해 턱없이 싼 가격 때문에 원가를 낮추려는 업자들의 계산 속은 이들 중국산 수입식품을 쉽게 외면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

그렇다고 국내 공급량이 태부족한 상황에서 중국산 식품의 수입을 중단할 수 있는 문제는 더더욱 아니어서 정부 차원의 안전관리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납 검출량이 차 류의 경우 기준치의 무려 23배를 넘었고 기준치가 없는 김치나 찐쌀도 적잖은 양이 아니어서 대책 마련을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

납은 몸 속에 남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비록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 할지라도 장기간 섭취하면 식욕 부진, 두통, 관절통증, 신장, 소화기관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열린우리당과 정부는 늦게나마 김치의 납 허용 기준과 인증 제도의 도입 및 음식점의 원산지 표시를 유도하는 정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단지 김치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금껏 문제가 된 식품을 포함해 가능성 있는 품목까지 전반적인 검토를 통한 사전 안전망을 마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중국 현지에 2명의 조사단을 급파하는 등의 대응 노력도 중요하지만, 수박 겉핧기 식이 아닌 심도 있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조사에 심혈을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상대국의 허술한 제도를 악용해 대충대충 돈만 벌려는 중국 정부에 일침을 가할 수 있는 따끔한 조치가 필요한 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