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우리나라 농산물의 중금속, 안전합니까?
[기고]우리나라 농산물의 중금속, 안전합니까?
  • 김현옥
  • 승인 2010.04.20 1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밭에서 식탁까지 연구
개발 기술 농업 현장 적용
홍무기 농진청 농산물안전성부장
주부가 재래시장이나 마트 등에서 과일, 채소를 구입할 때면 맛있게 먹게 될 가족을 떠올리게 된다. 같은 값에 이왕이면 맛있고 몸에 좋은 것을 구입하려고 이것저것 살펴보고, 혹시 나쁜 성분이 묻어 있을까 집에서 흐르는 물에, 식초에, 베이킹소다에 어디선가 들어 본 방법을 총 동원해서 세척하는 것이 가족을 생각하는 주부의 마음일 것이다. 이런 주부의 노력으로도 해결이 안 되는 것이 있다. 바로 '중금속'이다.

과일과 채소류의 표면에 주로 잔류되는 농약은 세척으로 상당량 제거될 수 있지만, 중금속은 토양이나 농업용수를 통해 과일과 채소류의 내부로 유입되는 특징을 보이므로 세척 효과는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즉, 농산물을 구입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중금속을 없앨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농민의 입장도 마찬가지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농산물에 함유된 중금속의 주요 유입경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인데, 내 돈 주고 산 내 땅에다 주변의 흐르는 물 끌어서 농사짓는데 중금속이 나온다고 나라에서 규제한다면 얼마나 억울할 노릇이겠는가. 어느 농민이 나쁜 땅에 나쁜 물 끌어다 농사짓고 싶겠는가.

그러나 이런 농업 환경에서의 중금속 관리는 인적·경제적 자원 투입이 많지만, 투자대비 실효성이 크지 않고 그 효과가 단번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골치 아픈 환경 문제 해결과 더불어 장기적인 연구․투자로 접근해야 할 사안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신종플루가 확산되기 훨씬 전부터 식품의 중금속 위험은 주기적으로 우리를 괴롭혀 왔고 또한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이제 중금속은 유행과 확산이 아니라 항상 우리 안에 내재된 위협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농산물의 중금속 관리는 첫째가 국가의 몫이다. 중금속이 국민 건강에 위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에서 중금속 기준을 설정한다. 이를 근거로, 토양과 농업용수가 오염된 일부 지역의 농산물 경작을 제한하는 것이 국가의 몫이요, 시간과 돈을 들여서라도 그 토양과 물을 정화할 의무를 가지는 것이 바로 국가이다. 또한, 사람에게 중금속 흡수를 더디게 하는 지연 효과, 체내 축적된 중금속의 배출 효과나 중금속의 무독화 연구를 독려하는 것도 국가의 커다란 몫이다.

다행히, 농촌진흥청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일반 농경지에서 경작된 농산물들의 중금속 검출수준이 아주 안전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검출수준은 세계식량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 위원합동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정하고 있는 농산물의 중금속 허용기준이나 우리나라 기준의 1/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례라든가, 우리 농산물을 섭취하고 이 땅에서 생활해 온 우리 국민의 체내 중금속 축적량이 서양인에 비하여 낮다는 점 등을 유추해 볼 때 우리의 주식인 농산물의 중금속 안전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농산물의 안전 관리를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농산물추적이력제도, 농산물우수관리(GAP)제도 및 친환경농산물품질인증제도의 정착을 위하여 농촌진흥청에서는 논밭에서 식탁까지 씨앗, 토양, 비료, 재배, 농업용수, 농산물 및 농식품의 안전성 연구와 기술 개발에 온 힘을 다하고 있다. 더욱이, 농산물안전성부에서는 농산물안전성 연구와 기술을 조기에 실용화하기 위해 연구원들이 소비 현장과 농업 현장에서 직접 연구하고 개발된 기술을 적용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농산물의 중금속 안전성이 지금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