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가격 6.6%가 미국주주 배당금으로 나가
피자가격 6.6%가 미국주주 배당금으로 나가
  • 김양희 기자
  • 승인 2006.01.01 2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피자헛 피자 가격의 6.6%가 미국주주들 배당금으로 나가고 있다’

이는 미국 달라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거대 자본 피자헛에 맞서고 있는 한국 피자헛 노동조합 측의 주장이다.

한국피자헛은 올해 매출액이 4000억원 정도가 예상되는 데 이중 로얄티나 식재료비 등을 제외하고 순수 600억원이 미국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불된다는 것이다.
한국피자헛의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8% 이상이며 전반적으로 심각한 경기 불황이었던 지난해에도 무려 3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고 지난 1월 피자업계 최초로 300번째 매장을 개점해 현재 32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피자헛은 1985년 이태원점을 1호점으로 한국에 진출해 지난 19년간 피자 업계는 물론 외식 업계를 선도하는 최고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 피자 시장에서 46%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한국피자헛은 전 세계 80여 개국에서 미국 영국에 이어 세번째로 실적이 좋은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얌 브랜드(Yum! Brands) 해외 부문에서 한국피자헛이 차지하는 운영 수익 비중은 무려 7%나 된다.

그러나 이들 실적은 노동력 착취에서 기인한 것이며 실적이 노동자들에게 배당되기는 커녕 미국 주주들만 배불리우는 꼴이라는 게 한국 피자헛 노조 측의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 97,8년에는 직영 매장 160여개 곳에서 1100여명의 직원이 근무했지만 현재는 210개 매장으로 늘었으나 인원은 1200여명 밖에 되지 않는다.

때문에 직원들은 주 5일 근무제지만 실제로 주 5일을 근무하기는 어렵고 야근과 주 6, 7일 근무가 다반사라는 것이다.

또한 6000여명의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고 있는 한국 피자헛은 미성년자와 임산부들은 야간 근무를 할 수 없다는 노동법을 교묘히 빠져나가기 위해 노동부 측에 허가서를 제출하도록 강요하기도 했다는 주장이다.

한국피자헛 노동조합은 특히 이번 신정영업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적극 반발, 노조 지도부가 삭발을 하고 삼성동 본사에 천막을 치며 철야 농성을 하고 있다.

피자헛은 그동안 관례적으로 신정, 구정, 추석 등 년 중 3일을 쉬어왔다.

그러나 사측은 년중 3일 휴무가 단체협약에 명시돼 있지 않다는 것을 이용해 신정 영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피자헛은 그동안 신정 영업을 거론했지만 1200여명 조합원들의 반대 분위기와 노동조합의 거부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었으나 올해는 불황으로 인한 매출 확대를 위해 점장과 비조합원만을 출근 시켜서라도 영업을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피자헛 노조 측은 해마다 두자리수의 성장과 2004년 매출목표 100% 달성 시점에서 불황으로 인한 영업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98년 IMF당시에도 매출은 20%씩 확대 됐으나 회사 측은 기본급 등을 동결하려 했고 5%의 임금인상을 이루자 이직률이 높은 특성을 이용, 2년 동안 회사를 그만둔 직원들에 대해 보충을 하지 않아 자연 감축된 인원만 600여명에 달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신정영업을 실시할 경우 구정과 추석의 휴일도 없어질 수 있고 이후 연중무휴 사업장으로 만들어 영업실적을 올려놓으면 피자헛의 임원들의 연봉 인센티브만을 높여주고 미국주주에게 배당금만 올리는 꼴이라는 것.

사측은 이번 신정영업에 관해 자율적으로 실시하겠다고 해 동의서를 받았다고 했지만 동의서를 받는 과정에서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직원들에게 관리자들이 2~3시간 개별 면담을 실시하는 등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노조 측은 취소서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피자헛 노조는 신정 영업을 강행할 경우 주요 피자헛 매장에서 집회를 하기 위해 현재 집회신고서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적정수준의 인력확보, 단체협약에서 약속한 1시간30분의 휴게시간 이행, 신정휴무 등을 내세우며 실시하고 있는 천막 철야농성도 회사 측과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는 2월 열리는 임단협까지 지속할 생각이다.

한편 업체별로 임금협상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이번 한국피자헛 노조의 시위를 필두로 해 앞으로도 노사간 갈등이 심화되는 기업이 더욱 늘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