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이물보고제도 재평가와 개선이 필요한 시기
식품 이물보고제도 재평가와 개선이 필요한 시기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6.03.14 0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S 칼럼(117)] 고객 불만 관련 Case study⑨
제조 단계 이물 혼입 20% 이하 불구
국내 기업 시간·비용·인력 과다 소진

△문백년 대표(식품정보지원센터)
‘최상(BEST)의 적은 차선(the second best)이다’는 말이 있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가 봐도 해로운 것은 피하기 때문에 최상의 것을 달성하는데 방해받지 않는다. 세상에 좋은 일은 많다. 하지만 좋은 일이라고 모두 하려고 하다보면 정작 중요한 것은 이루지 못하게 되는 함정의 늪에 빠질 수 있다.

식품의 핵심 가치는 무엇일까? 인류 생존에 필수적인 것으로 의식주를 꼽는다. 그 중 하나인 식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들을 꼽는다면 영양성과 맛과 향, 식감, 색택, 외관 등을 포함하는 기호성, 기능성, 안전성, 편의성 등일 것이다.

누가 맛과 영양적 가치가 전혀 없는 음식을 돈 주고 구입하겠는가? 소비자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나라 식품기업들은 이런 식품의 본질적인 가치 경쟁력을 높이는데 역량을 쏟아 붓기보다는 이물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 인력을 투입하는데 힘을 다 소진하고 있다.

그 이유는 ‘식품이물보고제’ 때문이다. 2008년 식품 속 이물 발생 건이 이슈화되면서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한 정부의 식품이물관리 정책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전 세계 유례없는 ‘식품이물보고제’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물 보고 건에 대한 집계 결과가 정기적으로 보도되고 그때마다 식품기업들은 더 많은 설비투자와 고가의 검사장비 도입, 인력 보강 등 관리 수준을 높여 왔다.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 수준이 많이 높아지고 이물 조작을 통한 허위 신고로 기업에 터무니없는 고액을 요구하는 블랙컨슈머들을 처벌할 근거가 마련된 좋은 점도 있다.

그러나 비용(cost) 대비 효과(effectiveness)를 따질 때 식품기업들이 이물관리를 위해 쏟아 붓는 설비 투자와 검사기기, 인력 보강 등 비용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 면에서 회의적이라는 반응이 많다.

지나친 투자는 결국 상품의 제조원가를 높여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떠넘겨지고 국산 식품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을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 식품기업의 품질관리 수준은 세계 최고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품이물보고제로 집계되는 이물 건수들은 식약처 국정감사 때마다 여과 없이 언론에 공표돼 마치 우리나라 가공식품 회사들의 위생관리 시스템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비춰진다.

신고된 이물 발생 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제조·유통·소비 단계와 오인 신고, 기타 등으로 분류되는데, 사실 제조단계에서 혼입된 것으로 확인된 건은 전체 신고 건수의 20% 이하 수준이다.

갈수록 FTA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이물보고제도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 및 개선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