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원유(전지분유)사용에 대한 득과 실-하상도의 식품 바로보기<18>
환원유(전지분유)사용에 대한 득과 실-하상도의 식품 바로보기<18>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6.05.17 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값싼 수입 분유로 만든 ‘환원유’ 미운털
축출할 게 아니라 표시 제도 개선을

원유 함량이 20∼30%에 불과해 논란이 일었던 ‘환원유’ 제품의 생산이 중단되거나 원료가 수입 분유에서 국산 분유로 바뀐다. 한국낙농육우협회는 지난달 21일 수입 분유로 환원유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에 해당 제품 생산·판매 중지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에 지난 4일 삼양식품은 문제의 환원유 제품인 ‘후레쉬우유’ 생산과 유통을 중단하기로 했다. ‘후레쉬우유’는 환원유 80%를 함유했지만 제품명이 ‘우유’인데다 포장도 일반 시유와 다를 바 없어 소비자로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푸르밀 또한 낙농협회 요청을 수용해 환원유 사용 시 수입 분유 대신 국산 분유를 사용키로 했다. 

△하상도 교수
‘우유류’의 축산물가공기준법상 정의를 살펴보면 “원유 또는 원유에 비타민이나 무기질을 강화해 살균 또는 멸균처리한 것이거나 살균 또는 멸균 후 유산균, 비타민, 무기질을 무균적으로 첨가한 것 또는 유가공품으로 원유성분과 유사하게 환원한 것을 살균 또는 멸균처리한 것”으로 돼 있다. 즉 ‘환원유’는 우유를 건조시켜 분말인 분유상태로 만들었다가 필요 시 물에 녹이고 약간의 유지방을 첨가해 액상 우유로 환원해 만든 제품이다.

‘환원유’는 일반적인 흰 우유보다 과일 맛 가공우유나 요거트에 많이 활용된다. 신선유를 쓰던 환원유를 쓰던 ‘가공우유’라 표시되므로 신선유를 사용하는 프리미엄 제품 판매자 입장에서는 억울한 면도 있다. 하지만 S우유 1리터 한 팩 가격이 2500원 수준인데 반해, 푸르밀의 환원유 밀크플러스 900ml는 1600원 정도여서 서민들 입장에선 고마운 제품이기도 하다.

환원유 제조사는 원유보다 값이 싼 분유, 특히 수입 분유를 사용해 생산할 경우 신선유와는 달리 상온보관이 가능하고 저장공간 또한 절약되며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호한다. 생유는 쉽게 부패하고, 냉장 보관해야 하며 수명이 짧아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는 문제와 고비용의 단점이 있어 불편함이 있다.

환원유의 판매 중단이나, 수입산 원유를 국내산으로 바꾸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 아니지만 삼양식품에서는 판매중단을, 푸르밀에서는 수입분유 대신 국내산을 사용키로 했다고 한다. 사실상 자본주의 사회에서 문제가 될 것이 전혀 없는 사안인데, 환원유로 인해 피해를 보는 신선유 제품 판매기업과 국내 낙농산업을 보호하려는 협회에서 문제를 만든 것이라 생각된다.

쟁점은 법 위반이 아니라 소비자가 우유제품 구매 시 신선우유와 환원유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현재 법상으로는 ‘가공우유’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막상 소비자들은 신선유인지 환원유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환원유는 제조 형태만 다를 뿐이지 영양학적으로나 안전성면에서는 신선유와 같기 때문이다. 물론 맛이나 조직감 등 주관적인 기호는 다를 수 있다.

신선유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싸고 엄격하게 관리, 제조하고도 환원유와 같은 취급을 받아야 한다면 억울할 것이다. 때문에 다 같은 ‘우유’라고 표시해서 판매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국내산이든 수입산이든 품질 좋고, 안전하면 그만이다. 그렇지만 문제는 가격이다.

궁극적인 해결책은 환원유, 수입 분유를 시장에서 퇴출할 게 아니라 정확한 ‘표시(Food labeling)’라 생각한다. 이번 시장의 해결책으로 나온 삼양식품 환원유 판매 중지와 국내산 분유사용은 생산자의 이익을 대변한 것으로 소비자에게는 무조건 손해다.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은 환원유, 수입산을 허용하면서 표시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환원유인지 신선유인지, 국내산인지 수입산인지 소비자가 알고 구매하게 하면 되고, 가격도 원가에 연동해 다양하게 책정하면 된다. 소비자는 주머니 사정에 따라 환원유 제품을 구매하든 신선유 제품을 구매하던 각자가 결정하면 그만이다.

이번 사태는 우리 생산자단체가 가공식품 제조 기업에 압력을 행사한 것이라 판단된다. 정부, 소비자·시민단체가 생산자 단체를 견제해야 하는데, 우리 농축산인은 늘 약자이고 보호대상이라 생각해 생산자가 관련된 문제라면 눈을 질끈 감는다. 결국 만만한 제조업체, 유통업체만 두들기고 죄인으로 만든다.

도시 노동자, 지식인, 제조업자보다 농어민, 생산자가 더 부자(富者)이고 형평에 맞지 않는 과도한 혜택도 누리고 있다. 세상은 더 이상 식량부족 시대가 아니며, 돈만 주면 식량을 팔지 않을 나라도 세상에 없다고 생각한다. 새마을운동 시대가 아닌 만큼 생산자에 대한 사회적 시각과 정책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 기업인, 소비자가 변하고 있듯이 생산자도 변해야만 한다.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교수(식품안전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