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 섭취와 심혈관질환-너무 많아도 걱정, 너무 적어도 걱정
나트륨 섭취와 심혈관질환-너무 많아도 걱정, 너무 적어도 걱정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6.06.20 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상도의 식품 바로보기<21>
적게 먹어도 심혈관 질환 위험 높아져
고혈압-고섭취자가 나트륨 절제 대상

나트륨 섭취량이 지나치게 적어도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영국 의학전문지 ‘랜싯(Lancet)’ 최신호(5월 20일자)에 발표됐다.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 의과대학의 앤드루 멘트 임상역학-생물통계학교수는 나트륨 섭취가 부족해도 과잉섭취 못지않게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과 사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결국 나트륨 억제는 고혈압 및 나트륨 섭취량이 많은 사람을 표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멘트 교수의 주장이다.

△하상도 교수
사람 혈액의 0.85%를 차지하는 소금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 생존에 필수 물질이다. 소금(NaCl)의 주성분인 나트륨(Na)은 ‘조미료’ 역할도 하지만 생명 유지의 ‘수호신’. 즉 식품에선 ‘보존제’ 역할이 더욱 크다.

과량 섭취 시에는 고혈압 등 인체에 해를 끼치며, 부족하면 체내 대사에 문제를 일으키는 ‘불가근(不可近) 불가원(不可遠)’ 물질이다.

캐나다 맥매스터대학에서 49개국 총 13만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3g 이하인 사람은 혈압이 정상인 경우 나트륨을 평균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에 비해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26% 높으며,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4%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을 부족하게 섭취하면 혈압에 관계없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6g 이상의 과량 섭취자 역시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23%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혈압이 정상인 사람은 나트륨 섭취량이 비록 많더라도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정상인의 경우 소금을 많이 먹어도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증거다.

엔드루 멘트교수는 이번 연구로 현재 국가별로 권장되고 있는 적정 나트륨 섭취량이 매우 낮게 책정돼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나트륨 섭취 권장량이 하루 2.3g(소금 1 티스푼에 해당)이며, 우리나라는 2g(소금으로 5g)이다. 캐나다의 경우 이 권장량을 지키는 사람은 5%도 안 되는 수준이며, 대부분 하루 섭취량이 3.5~4g(소금으로 8.25~10g)이라는 것이 멘트 교수의 설명이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정상인은 소금 많이 먹어도 별 영향 없어
국내 일률적 나트륨 저감화 부작용 우려
영양 성분 규제보다 표시·계도가 바람직 

최근 전 세계적으로 소금의 과잉섭취가 재조명되면서 소금의 인체 위험성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식생활 특성상 장류, 젓갈류, 김치 등 고염 식품의 섭취빈도가 높고 가공식품 의존도가 증가해 나트륨 과잉에 의한 고혈압, 더 나아가 뇌혈관질환이 문제가 되는 추세다. 이와 관련,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나트륨저감화정책’을 그 어느 나라보다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물론 나트륨 저감화가 필요한 시기는 맞다. 그러나 방법이 문제다.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 저감화 운동은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지 ‘식품 중 나트륨 함유량’을 줄이자는 취지는 아닐 것이다.

캠페인에는 공감하지만 지나치게 소금을 죄악시하고 소금을 반드시 써야하는 식품과 소금을 다량 함유해야만 품질과 안전성이 유지되는 식품들까지 인위적으로 저감화를 추진한다면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나트륨은 많이 먹어도 문제, 적게 먹어도 문제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일반적으로 나트륨을 과량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권장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트륨저감화는 인류의 목표가 아니라 ‘건강한 삶, 행복한 삶’의 수단일 뿐이다. 많이 먹든 적게 먹든 선택은 결국 소비자 스스로가 해야 한다.

나트륨 섭취 저감화든 적절한 섭취든 궁극적으로 줄이기에 성공하려면 나트륨을 적절히 섭취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마음가짐과 식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강제성을 띤 영양성분 규제보다는 소비자 계몽과 캠페인, ‘표시’를 통한 건전한 선택이 최선책이라 생각한다.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교수(식품안전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