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는 생존전략이다-식품안전은 생존 전략이다 ; 오원택 박사의 HACCP 현장 속으로⑨
HACCP는 생존전략이다-식품안전은 생존 전략이다 ; 오원택 박사의 HACCP 현장 속으로⑨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7.03.20 0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중독 사고 해당 기업 존폐 위기로 몰아
‘식품 안전’ 핵심 경영 요소로 삼아야

△오원택 박사(푸드원텍 대표)
인류는 오래 전부터 식품을 가공·조리해 왔다. 이에 대해 그동안 별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왜 그리도 식품안전을 강조하느냐”며 반발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한번이라도 자사 제품의 식중독 사고를 경험할 경우 몸서리칠 만큼 다시는 생각조차 하기 싫어한다. 식중독으로 회사가 존폐 위기에 놓였던 회사는 더욱 그렇다.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면 기업은 엄청난 타격을 입는다. 납품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제품회수 및 폐기, 계약 해지, 피해자 손해배상, 행정처분 심지어 구속, 재판, 형사처벌을 비롯해 더 나아가 기업이 회복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른다.

대형 식중독 사고 중 대표적인 것이 단체급식소의 노로 바이러스 사건이다. 당시 관련 기업은 직간접으로 매출, 신뢰도에 심각한 손실이 발생했고, 해당 사업부는 해체됐다. 특히 학교급식사업 시장에서 철수해 많은 인원들이 조정됐다.

이런 마당에 소문에 죽고 사는 우리나라 현실은 식품기업을 더 험악한 궁지로 몬다. 번데기 통조림사건, 냉동만두사건, 김치사태, 집단급식소 식중독 등 대표 식품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TV나 신문에 식품사고나 사건이 헤드라인이나 주요 이슈로 보도되면 진실과는 상관없이 해당 식품기업뿐 아니라 동일·유사 식품을 생산하는 기업까지 불똥이 튀어 거래 중지, 매대 철수, 매출 급락 그리고 경영 위기로 이어진다.

정부 역시 사회적 이목을 끌었던 식품사건·사고 발생 시 강력한 규제 정책으로 대처하고 있다. 오죽하면 식품사고 발생은 곧 식품위생법규 강화라는 등식이 생길 정도다.

그간 사건·사고와 관련된 식품안전 정책이나 제도를 2000년대 발생한 대표 식품사건과 연계해 살펴보면 촛불 시위로 확산돼 온 나라를 시끄럽게 했던 2008년 ‘광우병 사건’과 연이어 발생한 ‘이물 사건’을 들 수 있다.

당시 정부는 범정부적 종합대책을 마련했는데, 이 후 정부 부처가 아닌 국가 차원에서의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식품안전기본법에 근거한 ‘국가식품안전기본계획’을 수립, 식품안전 규제관련 정책 추진 및 제도 강화를 견고하게 뒷받침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대통령 공약으로 내세웠던 4대악 중 하나로 ‘불량식품’을 선정해 국정 과제에 연계·관리했다.

그 결과 검찰, 경찰이 불량식품 근절을 위해 전면에 나서 과거 어느 때보다 강력한 사법 조치를 하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청도 2013년 ‘처’로 승격시켰다. 과거 10여 년간 국가 식품안전 확보에 걸림돌로 지적됐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지지부진했던 ‘식품안전 일원화’가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이다. 즉 그동안 식품안전 사각지대의 원인으로 지적됐던 여러 부처의 식품안전관리 체계가 일원화됐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식품안전관련 법령 제정, 제도 개발, 예산 및 인원 확충 등에 대한 힘을 갖고 강력한 식품안전 관리 감독을 하게 됐으며, 정부의 식품안전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는 대표 기관이 됐다.

결국 식약처는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 확보를 위해 각종 정책, 제도를 강력한 의지로 추진할 것이고, 올 6월 발족하는 20대 국회는 예전과 같이 일벌백계의 처벌을 강조할 것이다. 소비자 역시 누적된 불안과 불신으로 이유 불문하고 관리 강화를 요구할 것이다.

이처럼 사회, 정부, 소비자 모두 강경 일변도인 현실에 식품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그 기업의 생존은 불투명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이런 상황에서 피해를 보지 않으려는 대형 유통사, 대기업 등 고객사는 식품기업에 계약 조건, 거래 유지 조건으로 점점 더 엄격한 식품안전 잣대를 요구할 것이다.

이제 식품을 팔려면, 거래를 하려면 식품안전 없이는 불가능해지고 있다. 때문에 식품기업은 식품안전을 무엇보다 최우선 경영 목표이나 경영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

특히 식품안전 사고는 자금 부족, 매출 부진, 거래처 이탈, 품질 저하 등과 같이 미리 인지할 수 있거나 대처할 시간을 가질 수 없다. 어느 날 갑자기 사고가 발생하고, 기업을 하루아침에 수렁 속에 빠트린다. 그러므로 식품안전은 식품기업 위기관리시스템 중 가장 중요한 위기 사항으로 삼아야 핵심 경영 요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