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사태는 언론의 부정확한 언어 사용서 촉발”
“살충제 계란 사태는 언론의 부정확한 언어 사용서 촉발”
  • 김승권 기자
  • 승인 2017.09.01 2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식품학회 주최 ‘계란 생산 시스템 개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학술토론회’

“이번 ‘살충제 달걀 파동’은 언론의 정확하지 않은 언어 사용에서 촉발됐다”

한국축산식품학회(회장 김세헌)가 지난 1일 개최한 ‘계란 생산 시스템 개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학술토론회’에서 임무혁 대구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이번 ‘달걀 파동’은 언론과 농식품부의 미흡한 대처로 농민들만 피해본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이번 문제는 적확한 단어를 사용해야할 언론이 문제를 키운 측면이 크다“며 ”두 번째 문제는 농식품부와 식약처의 초기대응 실패와 전수검사의 부정확성을 미리 예견하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금지라는 것은 기존에 사용하던 것을 ‘부정적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번에 논란이 된 비펜트린은 사실 공공연하게 사용되던 농약이고 잔류가 어느 정도 되어 있던 것이 현실”이라며 “‘질소 식품’처럼 소량 흡입으로 몸에 문제가 생기는 물질이 아님에도 언론에서 ‘금지 농약’이니 ‘살충제 달걀’이니 하는 표현으로 너무 국민을 호도한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이어 “농약을 검사기관이 허용여부를 결정할 때 처음 고려하는 것이 농약 살포자의 위해여부”인데, “사실 그 살충제 성분을 가장 많이 흡입한 살포자들에게서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기에 사용 가능 농약으로 지정됐던 것인데 그것이 가공식품으로 미량 흘러들어간다고 해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낮지 않나”고 말했다.

그는 이어 “피프로닐의 경우는 달걀에서 검출된 량이 사용 기준을 위반했다는 것이지, 인체 치사량을 넘어섰다는 말이 아니었음에도 언론의 뉘앙스는 미량 흡입시 바로 인체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게 했다”며 “이는 유통 기한을 지난 제품이 즉시 위해 제품이 되는 것이 아닌 것과 같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그러면서 처음에 농식품가 짚었어야 할 쟁점은 ‘왜 농민이 그것을 사용했는가’하는 문제에서 접근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유는 단순했다. 진드기가 생기는데 이미 동물이 내성이 생겨서 쓸 농약이 없었다는 것”이라며 “그런 현실을 감안해 농식품부는 농민들이 어떤 살충제를 어떻게 정확히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최농훈 건국대 교수 또한 “살충제 전수검사에도 문제가 발생했는데 양성과 음성 판정의 기준이 모호한 부분이 있었다”며 “어떤 곳은 1주일에 한번 뿌리고 어떤 곳은 1주 2~3번 뿌렸는데 그 뿌린 횟수로 양성 판정이 나온 경우가 많았는데 정부에서는 정확한 1,2차 전수조사에 대한 결과를 해명하고 살충제 방역 지원 등 농가 지원도 속히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정부의 축산 관련 선행 과제로 △전국 동물용 살충제 사용실태 파악 △살충제 사용 가이드라인 제시 △잔류농약 전수검사 시스템 보완을 꼽았다. 또한 중장기 지원 방향으로
△닭 진드기를 덜 발생시키기 위한 사육 방식 개선 △살충제 전문 방역 업체 육성 및 시스템 개선 △HACCP인증기관의 양적 인증을 방지하고 질적 인증 시스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밖에 토론회에서 이경우 건국대 교수가 ‘국내 계란 생산 시스템 현황’에 대해 발제했고, 이후 지정토론에서는 건국대 최농훈 교수, 대구대 임무혁 교수, 숙명여대 윤요한 교수, 한경대 윤덕훈 교수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