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국회의원·기자 인식]GMO 작물 우려 불구 부정적 의견 감소
[GMO 국회의원·기자 인식]GMO 작물 우려 불구 부정적 의견 감소
  • 황서영 기자
  • 승인 2017.10.19 1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술개발 필요” 75%…의원 인식도 높아
기자 39% “GMO 기술 농식품에 필요”

한국소비자연맹(회장 강 정화)은 2017년 6월 25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한 GMO기술 개발에 대한 국회의원, 기자 대상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회의원은 20대 국회의원 299명(2017년 6월 의석수)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방문형 면접조사를 실시했고, 이 중 228명(응답률 76%)이 조사에 응답했다. 기자는 총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로 이루어졌다.

한국소비자연맹의 조사에 따르면 유전자변형기술에 대해 국회의원(37.7%)이 기자(31.0%)보다 환경 및 인체에 우려가 된다고 했으며, 유전자변형기술이 농업 및 식품분야에 필요한지에 대해 기자(39.0%), 국회의원(27.6%)가 필요하다고 답해 기자가 국회의원보다 유전자변형기술에 대해 다소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유전자변형기술이 ‘식량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응답은 국회의원 28.5%, 기자 30.0% 이며, ‘판단하기 어렵다’는 응답은 국회의원 31.1%, 기자 38.0% 이다. 유전자변형기술이 농업 및 식품분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국회의원 27.6%, 기자 39.0%로 기자가 다소 긍정적 입장이다. 국회의원, 기자 모두 식품보다는 ‘에너지자원 생산을 위한 GM작물’의 응답이 높아 국회의원 34.2%, 기자 40.0%로 가장 필요한 GM작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GM기술 개발에 대한 인식에서는 국회의원과 기자 모두 우려가 기대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유전자변형으로 생긴 특이 생물종으로 환경파괴, 인체위해 등이 우려된다’는 국회의원 37.7%, 기자 31.0%를 나타내고 식량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국회의원 28.5%, 기자 30.0% 이다. 국회의원 30.3%와 기자 25.0%는 ‘우리나라도 국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GM 기술 개발이 필요한 이유로 꼽았다. 반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국회의원 20.6%, 기자 21.0%가 ‘인체안전성, 환경위해성에 대해 불안하기 때문’으로 응답했다.

국회의원과 기자 모두 GM작물에 대해 국회의원(66.7%), 기자(52.0%)의 절반이상이 중립적이다고 응답했다. GMO작물에 대해 국회의원 26.3%, 기자 39.0%가 ‘부정적이다’고 응답했으며, ‘긍정적이다’는 응답은 국회의원 7.0%, 기자 9.0%로 응답이 낮았다. GM작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위험하다는 응답이 국회의원 50.4%, 기자 56.0%로 응답했다.

GM작물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국회의원 37.4%와 기자 34.5%가 ‘습득한 정보의 내용(부정적)을 통해서’라는 답변이 높게 나타나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GM작물의 인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정부의 현행 표시제도에서는 유전자변형 DNA(단백질)가 전혀 남아 있지 않아 표시를 하지 않고 있으나 GMO를 원재료로 사용한 모든 식품에 단백질, DNA잔류 여부와 관계없이 GMO를 사용했다는 사실을 표시하자는 표시 확대 의견에 대해 국회의원의 74.1%, 기자 89.0%는 표시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국회의원의 연도별 인식도 조사 결과에서 GMO 표시제도에 대해 모든 식품으로 표시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2015년 93.1%, 2016년 79.7%, 2017년 74.1%로 점차 낮아졌으며, GMO 표시제 확대에 반대하는 의견은 2015년 3.9%, 2016년 18.0%, 2017년 9.2%로 다소 높아졌다.

상업화 반대…식용보다 화훼·의료용 원해
GMO 표시확대 찬성 의견 낮아져…74% 선  

확대가 필요한 이유로는 국회의원(59.2%), 기자(52.0%) 모두 ‘소비자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 이고 기자의 31.0%는 ‘현행 표시제로는 GMO원료를 사용한 GM식품 관리를 제대로 할 수 없어서’라고 답했다. 국회의원 9.2%와 기자 5.0%는 현행 표시제도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유지되어야 한다는 이유로는 국회의원 4.4%는 ‘표시로 인해 소비자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이며, 전체 기자 응답자는 모두 ‘표시제 강화시 국민의 부정적 인식이 확대되고 non-GMO 원료 수급도 원활하지 않으므로’라고 답했다.

우리나라의 GM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국회의원, 기자 모두 10명 중 7명이 응답했다. 우리나라도 GM작물을 상업화시켜야 한다는 응답에 대해서는 기자는 36.0%인데 비해 국회의원은 다소 낮은 25.9%로 상업화에 대해서는 10명 중 7명이 반대 입장으로 나타났다. 식용이 아닌 화훼, 의료용 등의 GM작물로 국한해서 개발해야한다는 응답도 각 각 34.6%. 36.0%이다.

향후 GMO가 미칠 영향에 대해서 국회의원과 기자 모두 부정적이다. ‘GMO는 인체와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국회의원(53.1%)과 기자(59.0%)는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으며, ‘GMO는 인류에게 손실보다는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것이다’에 대해서도 기자 35.0%와 국회의원 33.3%로 비슷한 응답을 보였다.

연도별 국회의원 조사결과 향후 GMO가 미칠 영향에 대해 ‘GMO는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응답은 점점 낮아졌으며, ‘GMO는 우리사회에서 잘 받아들여질 것이다’는 응답은 큰 변화는 아니지만 다소 높아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