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줄이기·재활용, 식품 업계 팔 걷어
폐기물 줄이기·재활용, 식품 업계 팔 걷어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8.04.16 0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J 생분해성 포장재 개발-오리온 ‘그린 프로젝트’ 등 시행

중국이 올 들어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 폐자원 수입을 중단하며 국내에서는 때 아닌 ‘재활용 대란’이 일고 있다. 환경부가 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지자체에게 재활용품 수거를 떠넘기며 재활용 업체의 폐비닐 등 거부 사태의 급한 불을 껐지만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어 언제 또 다시 불을 옮겨 붙을지 모른다.

우리나라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은 한국이 98.2kg이다. 미국(97.7kg) 프랑스(73kg) 일본(66.9kg) 보다 높다.

때문에 비닐류와 플라스틱류의 의존도가 높은 식품·외식업계가 생산 단계부터 재활용이 용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우리나라는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제품 생산자나 포장재를 이용한 제품 생산자에게 포장재 폐기물 일정량의 재활용의무를 부여하는 것이다. 전년 매출이 10억 원 이상이거나 포장재 연간 4톤 이상인 곳이 의무대상이며, 불이행 시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 이상의 재활용 부과금을 내야 한다.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 따르면 작년 기준 EPR 의무가 있는 4200여 개 기업이 출고한 재활용품은 3800톤이며, 부과금은 1650억 원이다. 하지만 출고량이 2013년 127만5564톤에서 2015년 149만7809톤, 2016년 155만3800톤으로 꾸준히 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식품업계에는 포장재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포장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

 

△이석구 스타벅스 대표(오른쪽서 세 번째)와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사무총장(맨 왼쪽) 등이 일회용컵 없는 날을 위한 환경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햇반’ 등 제품에 밀 껍질 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 제작하는 등 플라스틱 사용량을 낮추며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한 포장을 개발하고 있다.

오리온은 친환경 물질을 이용한 포장재를 제작해 인쇄와 접착에 쓰이는 유해 화학물질을 줄이는 ‘그린 포장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2014년에는 21개 제품 포장재 내 빈 공간 비율을 낮춰 크기를 축소했으며, 2015년에는 필름 포장재에 사용되는 잉크량을 줄이기 위해 포장 디자인을 단순화시키는 등 디자인 자체를 변화시켜 잉크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

외식 머그잔에 음료 제공·재생용지 봉투 사용
외식업중앙회 정부 친환경 정책에 적극 동참 

또한 아모레퍼시픽은 매장서 제공하는 비닐봉지를 친환경 소재로 만들었고, LG생활건강은 투명 페트용기 제작으로 과대 용기 사용을 줄여나가고 있다.

일회용 컵, 비닐 사용이 많은 외식업계에서도 텀블러 등 용기 사용을 권장하고, 이를 사용할 시 할인 혜택을 주는 등 재활용품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일회용컵 없는 날’ 캠페인을 열며 다회용컵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매장에서 수거되는 일회용컵을 모두 수거해 재활용업체로 전달하고 있으며, ‘일회용컵 수거함 설치’ ‘전자영수증 참여 확대 이벤트’ 등 친환경 소비 활동에 나서고 있다.

맥도날드는 매장을 이용할 경우 머그잔으로 음료를 제공하고, 개인 컵을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마일리지와 3·6·9회째 무료 음료를 제공한다. 테이크아웃 시 제공되는 종이봉투 또한 재생용지로 제작됐고, 메뉴 용지 및 포장재는 열대우림 훼손을 최소로 하는 용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타벅스, 이디야커피, 엔제리너스커피, 롯데리아 등은 다회용컵 사용을 권장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텀블러나 머그잔을 가져오는 고객들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전국 42만 외식자영업자를 대표하는 외식업중앙회 역시 업주들을 대상으로 자율지도 및 영업자 위생교육을 통해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선진국일수록 환경 문제에 매우 적극적이고, 중요한 정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환경부의 역할이 많이 축소돼 있다”며 “환경이 중요하다고는 말하지만 정작 정책 마련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이번 재활용 대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부뿐 아니라 국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며, 업계 역시 정부의 재활용 정책을 강요로 받아들이지 말고 마땅히 해야 하는 일로 수용하며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