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서 미승인 GMO 밀 발견…‘GMO 논란’ 재점화
캐나다서 미승인 GMO 밀 발견…‘GMO 논란’ 재점화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8.06.25 0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약처 유통 전면 중단…제분협회 수입량 적고 미국산 등 비축 많아 문제 없어

캐나다식품검역소(CFIA)에서 지난 14일 미승인 GMO 밀이 발견됐다는 소식과 함께 국내에도 GMO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모든 식품의 전수 검사는 물론 더 나아가 GMO완전표시제를 주장하고 있다.

밀 자급률 1%대에 불과한 우리나라는 대부분 밀을 수입하고 있다. 미국, 호주 등에서 주로 수입되며 캐나다산 밀과 밀가루의 비중은 각각 8.3%, 4.7%다. 올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캐나다산 밀은 26건, 8만9000톤, 밀가루류는 20건, 839톤이다. 게다가 이번에 문제가 된 밀은 제분·제빵 등에 사용되는 강력분 밀이어서 국내 수입량은 극히 미미한 것으로 제분협회 및 업계는 파악하고 있다.

그럼에도 제분협회는 소비자들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올 때까지 캐나다산 밀의 구매 및 유통 판매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제분협회는 수입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관련 업계 제품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 만큼 빠른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캐나다산 밀은 전체 수입량의 10% 미만이지만 보통 제빵 제조 시 미국산과 캐나다산을 섞어 쓰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 “수입밀, 제과 등 관련 제품 조사를”
소비자 원료 몰라…GMO 완전표시제 시행 촉구

일단 업계는 아직까지 생산에 큰 차질이 없다는 입장이다. 국내 제빵업체 중 P사는 캐나다산 밀을 일부 수입하고는 있지만 미국, 호주, 프랑스 등에서 수입하는 밀의 비축량이 많아 생산에는 큰 차질이 없고, 식약처 조사 결과 이후 해당 밀의 폐기 등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T사 역시 미국, 호주산 등의 비축물량이 충분하고, 캐나다산 밀의 비중은 미미해 생산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전했다.

제과업계는 강력분이 아닌 박력분을 사용하고 있어 이번 캐나다산 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라면업계도 대부분 미국산을 사용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집, 피자 등 외식업계 역시 주로 미국산을 사용해 사실상 큰 타격은 없는 것으로 본지 취재 결과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에선 GMO 밀 수입 원천차단은 물론 캐나다산 밀을 사용한 모든 완제품의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날을 세우고 있다. 더 나아가 GMO완전표시제까지 주장하고 있다.

제분협회는 매년 캐나다 및 밀 수출국 정부로부터 GMO 밀이 상업적 목적으로 생산·판매되지 않고 있다는 확인서를 받고 밀을 수입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GMO 반대론자 대부분 비전문가로 구성
암 유발 등 근거 없는 주장으로 소비자 혼란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는 성명서를 내고 “정부는 98%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 안전성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진상조사조차 실시하지 않는 것은 국민 기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이자 기본권 보호에 대한 방임”이라며 캐나다산 밀 수입의 전면 중단과 수입 밀 전체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소비자정의센터는 “지난 14일 발견됐음에도 우리나라는 나흘이나 지난 18일이 돼서야 검사를 통과한 캐나다산 밀만 통관을 허용했다”며 “이전에 수입된 밀은 현재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GMO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여전히 소비자들은 자신이 먹는 식품에 GMO 원료로 사용됐는지도 모르고 섭취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사회적 협의체를 통해 GMO표시제를 개선하겠다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GMO완전표시제 시행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수현 소비자시민모임 식품담당 실장은 이번 논란과 관련 “식약처 전수조사 결과가 나온 뒤 행동을 취할 계획이지만 무엇보다 이미 유통된 제빵, 제과 등 모든 완제품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소비자시민모임,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한국YMCA전국연맹, 한국YWCA연합회 등 소비자 5개 단체는 지난 5월 GMO완전표시제와 관련, 대통령 공약 이행을 위한 소비자단체 의견서를 청와대에 전달한 바 있다.

학계 “GMO 완전표시제 국제법 위반 소지
국제통상·식량 수급 전문가가 결정할 사안”

이에 경규항 세종대 명예교수는 “GMO완전표시제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할 수도 없고 실행해도 국제법 위반으로 WTO에 제소될 우려가 있다”며 “소비자의 알 권리 보장이라는 부분에 대해선 공감하지만 이는 국제통상과 식량수급 전문가들이 주도적으로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피력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대학교수는 “대부분 비전문가로 구성된 GMO 반대론자들은 우리나라가 GMO로 인해 암 발병률이 높고 치매율도 세계에서 상위권에 속한다는 과학적, 의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으로 소비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며 “이에 반해 전문가나 과학자 집단에서 GMO 반대는 극소수다. 누구의 주장이 보다 신뢰성을 갖는지 정부나 소비자들이 현명하게 판단하길 바란다”고 힘주어 말했다.

식약처는 국내로 수입되는 캐나다산 밀에 대해 검사를 보다 강화하고, 이미 수입·통관된 밀에 대해서는 수거·검사해 GMO 밀의 유통·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현재 문제가 된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밀은 없었지만 만약을 대비해 앨버타주 인근 지역에서 수입된 밀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라면서 “논란이 더욱 거세지기 전 하루속히 이 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식약처 조사 결과는 이주 내로 완료해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캐나다식품검역소(CFIA)는 문제가 된 밀은 시장에 공급되지 않았고, 수출이 승인되거나 사용된 적도 없다고 전했으며, 현재 포괄적 조사와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는 매년 밀 수출로 전 세계에서 약 110억 캐나다 달러(9조1980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