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R&D, 물량서 현장 실용형 전환
농식품 R&D, 물량서 현장 실용형 전환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8.10.01 02: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기식 소재 등 일몰제로 끝나…내년부터 미래형 혁신식품기술 개발 총력
2019~2021년 300억대 R&D 설명회 개최

내년 농식품부 식품 R&D의 방향이 전면 수정된다. 기존 방식이 건강기능성소재 중심의 성과 개수 늘리기에 급급했다면 앞으로는 업계가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아 조기 산업화가 가능한 실용화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기술 이전 타깃도 기존 영세기업 중심에서 중견기업으로 범위를 확대해 개발한 연구과제가 현장에서 반드시 적용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18일 대전에서 열린 ‘식품R&D 2019년 사업설명회’에서 정찬민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 사무관은 “지난 2010년 시작한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식품 R&D사업이 올해로 끝나는 일몰제인 관계로 내년부터는 일몰 사업을 대체할 신규 식품R&D과제로 ‘미래형혁신식품기술개발사업’을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정 사무관은 “그동안 성과 개수 위주의 백화점식 과제가 도출되다보니 성과 관리도 힘들고 업체에 실질적 기술 적용이 힘들었던 만큼 내년 과제는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연구 개발을 통해 성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영세업체를 중심으로 건강기능성소재, 기능성전통식품, 식품품질관리 등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원천핵심기술을 확보해 명확한 타깃과 중장기 지원으로 식품기업들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농식품부 2019년 식품 R&D 신규사업
△농식품부 2019년 식품 R&D 신규사업

맞춤형 비육류 단백질, 천연물 기반 첨가물 등
원천 핵심기술 확보 식품 기업에 실질적 혜택

‘미래형혁신식품기술개발사업’은 2019년~2021년까지 총사업비 300억 원을 들여 향후 형성될 혁신적인 식품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혁신식품 기술 및 안전한 먹을거리를 위한 천연 첨가물 기술 개발 등이 주를 이룬다. 혁신식품은 해외에서는 이미 산업화돼 시장이 형성됐거나 향후 시장이 유망한 분야이나 국내 기술기반 및 산업화가 미진한 식품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국내 및 수출시장을 감안한 사전경제성분석 실시를 의무화하고 수출지원 협의체를 구성한다. 또한 원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생산자단체 등과 원료 공급계약을 의무화하고, 기존 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이 된 원료를 기반으로 한 표준화 및 경제성 강화 등 산업화 연구 지원으로 조기 성과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기존 기업체로 한정했던 주관연구기관의 자격을 산학연으로 확대하고 관련 분야 산업화가 가능한 기업체 참여 필수로 연구팀 구성요건을 개선한 점이 특징이다.

정 사무관은 “이번 사업의 핵심은 산학연 협업을 통해 미래 식품분야 중점 필요기술 중 비즈니스모델 기반으로 설계된 R&D를 추진해 사업의 성과 및 파급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것”이라며 “총 사업비와 별도로 올해는 신규 예산으로 70억 원가량이 투입되지만 내년에는 예산을 최대한 반영해 식품산업 진흥 육성을 위한 필수 R&D 수행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추진되는 ‘맞춤형 혁신식품’에는 △비육류자원 기반 단백질 공급가능 신식품 개발 △만성대사질환 예방·치료용 식사대용식 개발 △초미세분말 가공기술을 활용한 매크로바이오틱 응용 기술 개발 등을, ‘천연 첨가물 산업화’에는 안전한 먹을거리를 통한 소비자 웰빙 수요 충족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해 △천연물 기반 가공식품 물성조절제 개발 △인공원료 대체 천연 감미료 개발 및 산업화 △천연 착색 대체소재 개발 △알레르기 저감 기술 및 대체식품 소재 개발 등이 주를 이룬다.

전문 거래기관 통해 우수기술 이전사업 활성화
이전 대상도 영세기업 위주서 ‘중견’으로 넓혀

정 사무관은 “고령친화식품, 채식주의자를 위한 비육류자원 기반 단백질 공급식품 등 국제적 수준의 미래형 식품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 수요에 맞춰 국산 농산자원을 활용해 기존 화학 식품첨가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기반 식품첨가물을 개발·산업화하는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농식품부는 개발된 우수기술들이 사장되지 않고 산업적으로 활용되도록 ‘식품 기술거래·이전 지원사업’을 추진해 우수기술을 보유한 대학·연구소와 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 간 매칭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기술거래전문기관을 통해 우수기술 발굴부터 기술이전, 사업화 기획까지 지원한다.

정 사무관은 “복지부에서 추진하는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사업을 벤치마킹해 그동안 식품 관련 산학연 등에서 개발한 숨은 기술을 기업들에게 전수하기 위해 내년 1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식품 기술 거래 지원사업을 신규 편성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수요기술 발굴→기술이전 협상→기술이전→사후관리’ 등 전주기적 기술 지원 체계를 구축하며 정보수집·DB관리, 기술이전협의체 운영 등에 대해선 실용화재단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농식품부는 기존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은 신규과제 예산 대신 기존 계속사업 중단 등으로 발생하는 잔여예산을 활용해 단기 소액과제 공고를 추진할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