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병 예방하는 ‘전통 식물성 소재’ 유망
선진국병 예방하는 ‘전통 식물성 소재’ 유망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8.10.29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이토케미컬 성분 급증하는 비만·뇌졸중 등 대사증후군 억제 효과
본지 주최 ‘고성장 블루오션 식품소재 개발 및 제품화 전략’ 컨퍼런스서 이영은 원광대 교수
△본지 주최 ‘고성장 블루오션 식품 소재 개발 및 제품화 전략’ 컨퍼런스에서는 식품소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각계 전문가들의 주장이 펼쳐졌다.
△본지 주최 ‘고성장 블루오션 식품 소재 개발 및 제품화 전략’ 컨퍼런스에서는 식품소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각계 전문가들의 주장이 펼쳐졌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늘며 뇌졸중, 당뇨, 만성염증 등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높아진 상황에서 식물성 소재인 파이토케미컬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전통자원을 활용한 소재 개발이 이뤄진다면 국내 농식품 소비 활성화는 물론 제품 차별화까지 갖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식품업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영은 교수
△이영은 교수

본지 주최 26일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고성장 블루오션 식품소재 개발 및 제품화 전략’ 컨퍼런스에서 이영은 원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로 현대인들의 가장 큰 꿈은 무병장수이지만 연평균 25% 이상 증가하는 비만율로 뇌졸중, 당뇨 등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아져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선 결국 당류 섭취를 줄이는 올바른 식습관이 중요한 만큼 글로벌 식품기업들은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식물성 소재 개발에 한창”이라고 설명했다.

j diabetes metab(2011)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성인 기준)은 미국 69%, 유럽 30~80%, 호주 78%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남성들을 중심으로 증가 추세에 있지만 아직까지 30%대에 머물고 있어 전 세계 추세와 비교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한국인들의 식습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우리의 한식은 한 상에 밥, 국, 김치 그리고 다양한 반찬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다양한 발효식품이 있고 채소를 나물과 김치형태로 다량 섭취한다. 육류보다는 콩이나 생산을 많이 섭취하고, 음식도 콩을 발효한 장과 마늘, 파, 고춧가루, 생강, 참기름 등으로 양념을 해 건강식으로 불리는 지중해식 식단과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한식은 K-FOOD가 아닌 K-Diet로 불리기도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한국인은 15세 이상부터 매일 채소를 섭취하고 있어 OECD 29개국 중 채소 섭취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제7의 영양소…고혈압 등 줄이고 면역 증진 각광
검정콩 항비만 효과 개별인증·특허…국제 경쟁력
원료 표준화·DB 구축으로 차별화된 소재 발굴을

채소에는 파이토케미컬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이 성분은 항산화 작용 증가, 면역 기능 증가, 해독 작용 증가 등을 통해 세포의 산화 손상감소, 암세포 성장 속도감소, 노화지연, 고혈압·백내장·골다공증 발병 등 감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성분은 식사 시 반드시 함께 섭취해야 할 파이토뉴트리언트로 불리며 제7의 영양소로 각광받고 있다.

채소 섭취율이 높은 한국인의 경우 이러한 파이토케미컬들이 오랜 기간 몸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긍정적 영향을 끼친 만큼 우리가 쉽게 접하는 나물 등 전통자원을 활용한 식품소재 개발이 이뤄진다면 제품 경쟁력에서 차별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다.

이 교수는 “옛말에 ‘입에 쓰면 약’이라는 말처럼 최근 우리 전통자원인 냉이, 씀바귀 등 쓴맛을 내는 약용식물들에게 건강증진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축적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식품 소재 개발에도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고 말했다.

△본지 이군호 발행인이 컨퍼런스에 앞서 이번 행사 개최의 의의와 환영 인사를 하고 있다.
△본지 이군호 발행인이 컨퍼런스에 앞서 이번 행사 개최의 의의와 환영 인사를 하고 있다.

특히 성신여대 산학협력단 비만과학연구소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검정콩의 종자개발 및 표준화를 거쳐 항비만효과 검증에 따른 소재를 개발해 특허 및 개별인증을 획득했고, 원광대학교에서도 야콘잎의 미백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농진청, 한식연 역시 전통자원을 식품소재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단, 이 교수는 전통자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료 표준화를 통해 품질 안전성이 검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식품업계에서 과학적 색채를 입혀 실제 우리 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해 보다 완전한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선진국은 이미 후생유전학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식물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기업들이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하는 맞춤형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며 “아직 국내는 이러한 정보가 부족하지만 동의보감 등 쉽게 구할 수 있는 민속자료를 활용해 연구한다면 우리만의 차별화된 식품소재 발굴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법고창신(옛 것, 기술과 새로 나다)의 말처럼 동의보감에는 우리 몸에는 어떠한 약재가 효능을 보이는지 상세하게 설명돼 있어 이는 결국 전통자원의 고부가가치화도 충분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