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차세대 유전체분석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식품 패러다임 바꿔
블록체인, 차세대 유전체분석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식품 패러다임 바꿔
  • 황서영 기자
  • 승인 2019.03.08 1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양과 식품안전을 위한 새로운 과학’ 주제, 한국국제생명과학회 심포지엄

식품산업과 4차산업혁명 기술의 만남은 식품문화의 변화를 이끄는 열쇠이자 식문화 자체를 완전히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소 생소한 ‘블록체인’ ‘개인맞춤형 기술’ ‘염기서열분석’ 등 신기술 용어들이 식품산업에 적용되면서 우리 식품 소비를 비롯한 전반적인 식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고 있다.

6일 한국국제생명과학회(ILSI Korea)는 ‘영양과 식품안전을 위한 새로운 과학’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어 신기술의 적용으로 변화된 식품 안전 및 영양설계에 대한 주제발표 및 강연을 진행했다.

△6일 ‘영양과 식품안전을 위한 새로운 과학’를 주제로 열린 한국국제생명과학회(ILSI Korea) 심포지엄에서는,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식품산업에 적용되면서 식품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고 연사들은 밝혔다. (사진=황서영 기자)
△6일 ‘영양과 식품안전을 위한 새로운 과학’를 주제로 열린 한국국제생명과학회(ILSI Korea) 심포지엄에서는,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식품산업에 적용되면서 식품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고 연사들은 밝혔다. (사진=황서영 기자)

블록체인 기술 식품 이력추적 효율성 높여
염기서열분석 원인식품 추적 문제 신속 해결
발효 제품 품질 확인, 식중독균 오염 사전 차단

△곽노성 교수는 세계 각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식품이력추적 관련 주요 기술로 지목하고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라고 말했다.(사진=황서영 기자)
△곽노성 교수는 세계 각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식품이력추적 관련 주요 기술로 지목하고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라고 말했다.(사진=황서영 기자)

심포지엄에서 곽노성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교수는 “4차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초연결 등으로 촉발되는 지능화 혁명 그리고 그 이상의 상태를 말하며, 그 중 블록체인 기술은 국내 가상화폐의 반짝 인기로 유명해졌으나 다른 활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라며 “블록체인은 현재 세계 각국에서 식품 이력관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 식품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시스템 적용을 논의 중이다”라고 말했다.

곽 교수에 따르면 호주, 네덜란드, 미국, 중국 등지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식품이력추적 관련 주요 기술로 지목, 핵심적으로 지원 중이다. 또 IBM 등 글로벌 대기업에서도 식품안전 강호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해, 주요 식품업체가 데이터 공유 및 시범 운영에 참여하게 해 식품의 생산-유통 전과정에 블록체인을 적용, 식품 관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연구 중이다.

이력추적제는 이미 국내에서도 시행 중이다. 곽 교수는 위변조가 불가한 분산원장과 조건 부합시 자동 처리되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의 특징을 이력추적제에 적용할 때 개인이 의도적인 처리가 힘들기 때문에 위변조 방지와 데이터 공유 면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특징으로 가짜 식품의 유입이 방지되며 이에 따른 폐기물의 최소화, 모든 공급망에 대한 세세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져 문제 발생 시 회수가 용이해지는 등의 장점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 곽 교수의 설명이다.

또한 그는 “블록체인과 이력관리제의 결합은 분산원장을 통해 모든 부처가 동일한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도권 문제도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중앙부처간, 중앙과 지자체간 혼선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라며 “정부 청사에서 축산물 등 현행 일부 이력제가 종이 문서에 의존하고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 시 사업자는 물론 소비자도 해당 업소의 기록 확인할 수 있지만 위변조 가능성은 낮아 데이터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곽효선 과장은 대용량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NGS’ 기술로 원인세균과 원인식품을 추적해 문제 발생을 최대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사진=황서영 기자)
△곽효선 과장은 대용량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NGS’ 기술로 원인세균과 원인식품을 추적해 문제 발생을 최대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사진=황서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곽효선 과장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Next-Gen Sequencing) 기술을 활용한 검사 방식에 대해 발표했다.

곽 과장은 “대용량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는 ‘NGS’ 기술로 원인세균과 원인식품을 추적해 문제 발생을 최대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라며 “미국에서는 식중독균의 전장 유전체 분석 기술(WGS·Whole Genome Sequencing)을 활용해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중국의 베이징 게놈 연구소, 영국의 식품안전청 등도 유전체 정보 수집과 활용을 도모하고 있어 미생물 유전체 정보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과 운용에 전 세계가 나서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곽 과장에 따르면 현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유전체분석실, 메타게놈분석실 등 최신설비를 갖춘 식중독균 자원센터를 운영 중으로, 국내 식품 분리 식중독균에 대한 전장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고 식중독 사고 유래 주요 식중독균에 대한 전장유전체 정보 기반의 병원성 유전자, 항생제 내성 인자 등을 분석하는 생물정보학적 유전체 분석을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관리를 위해 식품 내 미생물 군집분석(Metagenome Sequencing)을 진행,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농후 발효유 등 실태조사를 통한 표시사항 및 품질관리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발효제품에 대한 병원성 대장균의 변화를 통해 식중독 균 오염의 사전적 차단을 담당하고 있다.

곽 과장은 “향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전장 유전체 분석기술 데이터를 지속 구축하고 △미국 FDA와 유전체 분석을 공동연구를 진행 △미생물 군집분석을 통한 유산균 분석 프로그램 DB를 확대 △식약처 및 지방식약청, 보건환경연구원의 협업으로 식중독균 유전체 정보망 구축 등을 진행해 식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사전 차단에 기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