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부처 참여 ‘통합식품안전정보망’ 생산 단계부터 적용
12개 부처 참여 ‘통합식품안전정보망’ 생산 단계부터 적용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9.04.15 02: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부터…전자민원 기능 도입, 모바일로 폐업 신고
식약처, 범부처 협의회 개최

국내 식품 관련 12개 부처가 참여해 구축한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이 올해 식품의 생산단계부터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사전예방에 나서고 전자시스템을 통해 민원인들의 편의성을 강화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에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식품안전기본법 제24조의2에 의거 식약처, 농식품부, 해수부, 복지부, 환경부, 행안부, 교육부, 국방부, 관세청, 농진청, 권익위, 공정위 12개 부처에 분산된 정보를 연계·통합해 국민에게 개방하고 부처간 칸막이 없이 공동 활용하기 위해 지난 2015년 6월부터 본격 운영되고 있다.

12개 중앙부처 및 전국 지자체 정보의 연계 및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식품업체·생산품목에 대한 고유번호 부여 및 원재료·품목분류·시험항목 등 표준코드를 부여했고, 수집된 데이터는 식품안전나라 및 식품정보활용시스템, 식품행정통합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생산단계 부적합 식품 공유·활용을 위한 현황분석 및 등록기관 등 표준코드를 적용해 부적합 시 시·도, 관계기관 등 조치기관에서 수거검사, 회수폐기 등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올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생산단계 부적합 식품 공유·활용을 위한 현황분석 및 등록기관 등 표준코드를 적용해 부적합 시 시·도, 관계기관 등 조치기관에서 수거검사, 회수폐기 등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11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V 센터에서는 올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 운영에 대해 12개 부처가 공유하는 ‘범부처 통합식품안전정보망 운영협의회’가 개최됐다.

협의회에 따르면 올해부터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생산단계 부적합 식품 공유·활용을 위한 현황분석 및 표준코드를 적용해 생산단계 부적합 시 시·도, 관계기관 등 조치기관에서 수거검사, 회수폐기 등 후속조치를 할 수 있도록 등록기관 등 표준기관 코드를 적용한다.

특히 농식품부와 해수부를 통해 농축수산물 생산단계 부적합 정보를 통합으로 전송해 부처간 생산단계 부적합정보를 공유하도록 기능을 강화한다.

양창숙 식약처 통합식품정보서비스과장은 “식품 생산단계에서 부적합이 발생하면 각 부처로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현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공유체계를 구축, 보다 신속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폐업신고 등을 모바일로 신청할 수 있는 전자민원 기능을 도입해 편의성을 높이고, 축산물의 냉동전환 신고 시 보관창고 코드생성 및 활용기능을 개발했다. 아울러 식품안전나라에서 동업자 조합 자율지도 보고 기능 구축으로 협업기능도 대폭 개선될 방침이다.

양 과장은 “민원인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신청 품목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고, 올해는 전자민원이나 모바일 기능을 강화해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며 “일반인들도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생활밀착형 콘텐츠를 제작했고, 각종 통계자료도 빅데이터 인포그래픽을 적용해 접근성을 높였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최근 축산물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식육즉석판매가공업, 식용란선별포장업, 도축업, 가축사육업 등 연계정보 활용기능을 강화해 효율적인 운영이 이뤄지도록 구축했다.

△백혜진 소비자위해예방국장
△백혜진 소비자위해예방국장

범부처 통합식품안전정보망 운영협의회 위원장인 백혜진 식약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은 “독립된 기능을 갖고 있는 각 부처간 협업을 통해 국민의 먹을거리 안전에 앞장서고 있는 것은 전 세계에서도 전무후무한 일”이라며 “각 부처가 국민의 안전을 걱정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마음은 동일한 만큼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이 국내 식품안전을 선도하는 길라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작년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식품 관련 사건사고 발생 시 신속한 추적·조사를 위해 식품안전관리 관계기관 생산단계 및 대상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정보 19종 통합망을 연계했다. 특히 차세대 통합망 구축을 위한 ISP를 수립했는데, 이는 환경정보, 공간융합정보 등 타 분야 통합정보와 식품안전 통합정보를 연결해 더욱 촘촘한 식품안전관리 정보기반 구축을 이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