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감사서 드러난 GMO 인식차…정부 GMO 연구개발이 소비자 우롱?
국정 감사서 드러난 GMO 인식차…정부 GMO 연구개발이 소비자 우롱?
  • 이재현 기자
  • 승인 2019.10.11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권 의원, 농진청 계속 연구개발 질타
전문가 “기술 없으면 선진국에 로열티·국부 유출”

정부의 GMO 연구개발이 또 다시 제동에 걸릴 위기다.

지역 내 반(反)GMO전북도민행동과 마찰을 빚던 농진청 ‘GM작물개발사업단’은 지난 2017년 해체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농진청은 사업단의 해체일 뿐 GMO 연구는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7일 열린 농진청 국정감사에서 농진청이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이후부터 현재까지도 GMO 상용화를 위한 마지막 단계인 위험성평가 대상 3종을 비롯해 77종에 대한 GMO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농진청은 반GMO전북도민행동과 협약을 맺고 GM작물 생산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지만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 이후에도 유전자발굴 35종, 기능검정 34종, 고정계통 4종는 물론 GM콩 3건의 상용화를 위한 위해성평가를 진행하는 등 GMO 연구개발을 꾸준히 지속해 왔다”며 “우리나라 종자보급개발을 책임지는 국가기관이 GMO상업화를 위한 평가는 물론 연구개발에 까지 관여하는 일이 여전히 반복되는 것은 안전한 농작물 생산과 보급을 바라는 시민사회를 우롱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GMO 상업화 절차 과정
△GMO 상업화 절차 과정

이에 농진청은 “GMO상용화를 위해선 유전자발굴, 기능검정, 고정계통육성 등 상용화 이전단체를 거쳐 위해성평가, 위해성심사, 품종등록 및 사업화와 같은 상용화 단계 등을 거치는데 걸리는 기간이 콩 16.3년, 면화 12.7년. 옥수수 12년, 카놀라 11.7년 등 상당부분의 시일이 소요되며, 선진국의 경우도 상업화까지 성공하는 비율은 1% 미만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또한 “국내에서 연구개발 중인 GMO 대부분은 유전자 기능분석을 위한 연구재료용 형질전환작물이 대부분으로, 향후 육종소재로는 활용이 가능하지만 심사기준 및 품종 실용화 요구조건에 미흡해 실용화단계로 바로 진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GMO 연구 수준이 다른 선진국들과 비슷한 상황에서 연구를 중단할 경우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계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가 지금 GMO 연구를 중단하면 이후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 로열티를 주고 GMO 기술 및 곡물을 비싸게 구입해야 한다”며 “특히 현재 전 세계적으로 GMO 연구 트렌드도 변하고 있어 과거 제초제 저항성 콩 등 생산자를 위한 GM 작물이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기능성을 강조한 소비자 중심의 GM 작물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만큼 우리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