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글로벌 역량 강화에 R&D 필수
K-푸드 글로벌 역량 강화에 R&D 필수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2.07.18 0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변청담’ 토론회…산업 현장 니즈 충족하는 실용적 연구를
예산 대폭 늘리고 국책 연구기관 핵심 기술 개발 나서야
러시아 등 한국 식품 진출 여지…수출 확대 정부 지원 절실
식량안보 경각심 일깨우고 식품에 ‘원 헬스’ 개념 도입해야

한류 열풍을 등에 업은 우리 식품기업이 글로벌시장에서 보폭을 더욱 넓히기 위해서는 R&D가 관건이라는 식품업계 원로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국내 식품기업의 R&D 투자 여력이 낮기 때문에 국책연구기관에서 적극 나서야 하며, 특히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업계 니즈를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

11일 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노변청담 토론회에서 학계·업계 원로들은 ‘식품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토론하며 이 같은 의견을 개진했다.

본지 이군호 대표는 식품산업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주는 생명산업임을 강조하고, 정부는 민간의 R&D 투자 여력이 낮은 점을 감안해 국책연구기관이 적극적으로 대형 핵심기술 개발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철하 전 CJ제일제당 부회장은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선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트렌드를 빠르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정부는 식품산업이 이러한 시장 상황을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R&D 예산을 획기적으로 증액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11일 열린 노변청담 토론회에서 식품업계 원로들은 국내 식품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R&D가 필수라고 주장하는 한편 산업체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 수행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오갔다.
△11일 열린 노변청담 토론회에서 식품업계 원로들은 국내 식품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R&D가 필수라고 주장하는 한편 산업체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 수행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오갔다.

성창모 고려대 석좌교수는 정부의 R&D 투자가 미흡해 식품기업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식품산업진흥육성의 주무당국으로서 R&D 비중을 높여 AI, 빅데이터 등 식품산업의 디지털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권대영 호서대 교수 역시 소비가 원활한 식품개발이 중요하지만 대학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개발된 연구결과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선택·정착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며, 현장 니즈를 파악한 실용성이 아닌 연구결과물과 양에 치중해 현장 상황 파악을 제대로 못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는 현재 국내 식품시장은 포화상태여서 수출 확대 방안에 집중 연구하고 기업의 보폭이 넓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열린 정책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장이 중심이 돼야 하며 연구소, 대학 등도 논문을 위한 연구보다 실용적인 접근이 가능한 연구가 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이를 위해서는 이들의 연구결과물에 대한 평가 방법도 바뀌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박용호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식품산업에 ‘원 헬스’ 개념을 도입해 질병 예방 및 안전관리를 연결시켜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하게 가질 수 있는 식품개발은 물론 국민 건강을 위해 시유 등 축산가공품 소비 촉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홍기 모스크바국립대학 초빙교수는 러시아는 식품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해있지 않아 주방의 조리식품도 단순 조리에 벗어나지 못해 음식의 맛과 풍미가 없기 때문에 우리의 발효식품인 된장, 고추장 등을 샐러드에 가미하고 국물에 넣어 맛을 개선해 풍미를 느끼게 한다면 국내 장류업계에는 진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철호 고려대 명예교수는 식량 자급률에 대한 허상이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곡물의 양이 아닌 칼로리 자급률로 국민에게 인식시켜 식량안보에 경각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박현진 고려대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곡물가 상승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식품산업의 대책 마련이 긴요하다고 제언했으며, 조재선 경희대학교 명예교수는 영세한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중장기 계획을 마련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