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생산성 향상보다 맞춤형 식품 제도 마련 돼야”

건강기능식품 미래포럼서 권대영 박사 주장

2019-04-19     강민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식품 분야 4차산업혁명의 지향점이 생산경제가 아닌 생활경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생산성 향상보다는 개인의 행복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바뀌어야한다는 것이다.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과 건강기능식품연구회가 17일 코엑스에서 개최한 건강기능식품 미래포럼 세미나에서 권대영 전 한국식품연구원 박사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AI가 빅데이터를 딥러닝이나 머신러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 해결 방법을 찾아간다. 식품분야 빅데이터는 엔드유저인 소비자의 비정형 데이터로 구성돼 있어 딥러닝을 통해 각 개인에게 맞춰진 다양한 결과를 내놓을 수 밖에 없다”며 “개인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치 중심의 소비자 선택권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식품 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제도

△17일

변화를 포함한 정책 전환까지도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부 정책 중 생산성 중심의 스마트 농업·유통과 3D프린터 등은 잘못된 사례라고 지적했다.

박경미 허벌라이프 이사는 유전자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 건강시장이 열려 있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이사는 “2016년 보건복지부의 DTC(Direct To Comsumer)고시는 일반 소비자들에게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유전자 검사를 제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 허벌라이프는 작년 유전자 등을 분석, 식‧생활습관을 통해 영양성분을 섭취토록 제안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서비스에는 영양기능성분 추천도 포함돼 있는데,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향후 건기식 소분판매가 가능해지면 맞춤형 식품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