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분석관리 위주 HACCP 조기정착 절실”
“위해분석관리 위주 HACCP 조기정착 절실”
  • 류양희 기자
  • 승인 2005.11.11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흥원 천석조박사, 식품안전성 확보방안 제의

식품을 둘러싼 환경변화가 급격한 가운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해 분석(Risk analysis)관리위주의 시스템 도입과 HACCP을 포함한 GAP, 생산자이력추적시스템 등의 조기도입 및 시행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천석조 박사는 11일 식약청 부설 ‘HACCP기술지원센터’ 개소 기념세미나에서 ‘HACCP제도의 국제 추세 및 향후 전망’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천 박사는 “지금 우리 사회는 동물원성 감염증, 신생출현균, 항생제내성균 등 식품위해 요인은 다양화되고 식품의 유통환경은 광역화, 복잡화, 글로벌화 되었으며, 과학의 발달로 인한 분석기술은 향상돼 식품 안전문제에 있어서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고 있다”면서 이에 따른 새로운 개념의 식품 안전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천 박사가 제시한 새로운 개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위해 분석(Risk analysis)관리 위주의 시스템 도입이고 다른 하나는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안전성 확보다. 위해분석방식의 도입은 위해 성분에 대한 행정조직의 기능적 분담관계를 구축하고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한편 예방적 접근책의 강화를 의미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위해성분에 대한 소비자와의 꾸준한 정보공유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천 박사는 GAP, HACCP, 이력추적시스템의 조속한 도입 및 제도정착을 통해 생산에서 최종 소비단계까지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국의 경우 프랑스(AFSSA), EU(EFSA), 영국(FSA) 덴마크(DVFA) 캐나다(CFIA)등이 자국의 식품안전청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과학적 지식 반영을 강화하고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한편 정책의 일관성 확보와 행정의 효율화를 위해 노력하는 등 위해 분석 방식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식품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장에서 식탁까지의 관리대책 구축 △업체의 자주관리 향상 도모 △위해 관리능력의 강화를 위한 정보수집 분석력 강화 △조사 연구 또는 검사의 충실 △대국민 정보제공 및 올바른 지식 보급 △HACCP 시스템 도입 촉진 책 실행 등이 필요하다고 천박사는 주장했다.

일본과 미국, EU, 뉴질랜드호주, 캐나다 등 선진국 외국의 경우 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HACCP제도도입을 연구해 그 적용범위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CODEX도 69년 ‘식품위생에 관한 일반원칙’을 책정한 이후 93년 ‘HACCP 시스템과 그 적용을 위한 지침’을 채택해 몇 차례 개정한 끝에 현재 이 분야에서는 선도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올해 9월에는 ISO 22000 규격기준 최종안이 확정돼 전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을 위한 방안들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천 박사는 “향후 HACCP의 추진 방향은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면서 “식품안전문제에 있어서 정부가 일관성있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 달라”고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