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시 식량안보 대응 매뉴얼, 수입에만 의존
유사시 식량안보 대응 매뉴얼, 수입에만 의존
  • 손정호 기자
  • 승인 2015.09.10 1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승남 “‘2011년 발표’ 식량안보 유사시 대응 매뉴얼 법제화 포기”
10일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 2008년 애그플레이션 이후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 커지고 전 세계적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농식품부는 ‘유사시 식량안보 대응 매뉴얼’을 법제화하겠다는 약속마저 저버리고 오히려 농업의 위기를 자초하는 FTA에만 적극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승남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남 고흥·보성)은 2010년 하반기부터 급격한 국제 곡물가 상승으로 식량안보에 대하 우려가 확산되자 2011년 농식품부는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재설정하고, 유사시 식량안보 대응 매뉴얼을 법제화한다고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농촌경제연구원에 국제곡물관측업무를 맡기는 수준에서 정리했으며, 박근혜정부 대선공약 및 국정과제도 식량안보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한 것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농식품부는 조기경보단계별 상황 및 매뉴얼을 총 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 상황으로 구분하고 각각 대응방안을 마련했는데, 각 대응방안을 살펴보면 TRQ 증량(주의), 수출국에 협조(경계), 긴급수입(심각) 등 모든 단계가 국외로부터 식량을 수입해오는 매뉴얼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2011년 7월 발표한 ‘식량자급률 목표치 재설정 및 자급률 제고방안’은 흉작, 수입 중단 등 유사시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인데, 오히려 대응방안이 곡물 수입이라는 것은 어불성설에 지나지 않는다고 김 의원 측은 강조했다.
 
또한 2008년 곡물위기 이후 필리핀·인도네시아 등 16개국과 2011년 이집트·모로코·알제리 등 7개국이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식량을 확보하지 못해 소요사태가 발생해 국민의 삶이 붕괴됐고, 일본은 세계 식량위기를 인식하고 범국민적인 식량자급운동을 전개하고 있고, EU와 미국은 의무휴경제를 폐지하고 곡물생산량을 증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의원은 “유사시 식량안보 매뉴얼은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위급사항을 대비한 것인데, 식량수입을 대응방안으로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면서 “만약 상대국이 곡물수출금지 조치를 취하면 대응할 방법이 없다. 지금이라도 식량안보 매뉴얼을 법제화하고 그에 따른 생산기반 확충과 농업 경쟁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