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소모성 논쟁 이제 그만
GMO 소모성 논쟁 이제 그만
  • 배미현 기자
  • 승인 2016.05.31 0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년째 평행선…‘국력 낭비’ vs ‘소비자 혼란’ 극단적 대립

한동안 잠잠하던 GMO(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과학자 및 학계의 “과학적으로 안전한 식품으로 식량 혁명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입장과 NGO 및 일부 소비자단체의 “아직까지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위험성이 내제돼 있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국내에 도입된 20여 년의 세월이 무색할 만큼 GMO 논란은 여전히 뜨거운 쟁점이다.

지난 20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 의생명과학연구동 앞에서는 GMO반대 생명운동연대(집행위원장 이재욱)와 농민단체 ‘농민의길’이 “규제와 신고, 허가 없이 실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GMO 반대 시위를 벌였다.

△반GMO연대와 농민단체가 지난 20일 LMO 실험·개발 중단 및 GMO 퇴출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서 정부와의 대립이 고조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정현찬 농민의길 상임대표는 “GMO 농산물을 수입하기 시작한 90년대 중반부터 한국은 자폐증, 대장암, 선천기형아 등 질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에도 정부는 전국 7개 지역에서 벼, 감자, 사과, 콩, 유채 등 10개 품목의 GMO 농산물을 시험 재배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GMO 종주국인 미국 정부와 같이 ‘자본가 돈벌이’에 앞장서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한국은 GMO 농산물 수입량이 1000만 톤에 달하는 세계 2위에 달하는 수입국으로, 콩기름 고추장 된장 간장 올리고당 빵 과자 카놀라유 등 대부분 가공식품에 GMO가 포함돼 있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살상무기인 GMO의 개발을 전면 중단하고 GMO 농산물을 사용한 모든 가공식품의 표시를 의무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안전성 입증 안 돼…농산물 개발·시험 반대
콩기름 빵 등 모든 가공식품 표시 의무화를 

그러나 학계 및 전문가들은 이같은 반GMO 단체들의 주장은 비과학적인 잘못된 것이라며, 일방적 반대운동은 국민적 혼란과 경제적 손실만 가중시키는 극히 위험한 행동이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식량안보연구재단 이철호 이사장(고려대 명예교수)은 “GMO 농산물의 안전성은 더욱 확고해져서 이제는 일반농산물과도 차별할 수 없게 됐다. 게다가 지난 20년간 미국은 생명공학기술로 개량한 GM 옥수수, 콩, 캐놀라 등을 생산해 아무런 표시 없이 전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으나 이상 징후가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미국 과학한림원(NAS)가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900여 건의 연구 자료와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GMO 농산물은 건강을 해칠 염려가 없다고 발표한 보고서 내용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 이사장은 “이미 전 세계 경작지의 12%에서 GM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의 주요 식량 수입국인 미국에서 생산되는 옥수수와 콩 90% 이상은 GMO다”며 “반대론자들이 ‘괴물 GMO’라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사회 전반에 공포감을 확산시키는 행위는 지양돼야한다”고 주장했다.

반대 위한 논리…공포감 확산행위 지양해야
선진국 다방면 활용…미래 성장동력 가능성 

세종대 경규항 교수는 GMO 관련 기술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를 예로 들었다. 경 교수에 따르면 일본은 현재 사회적 문제인 삼나무 꽃가루 알레르기에 대처하기 위해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GMO 삼나무를 개발해 시험재배 중이며, 삼나무 꽃가루 백신이 들어있는 GMO 벼를 개발 임상시험하고 있다.

또한 인터페론을 많이 함유한 GMO 딸기 개발로 애완견 치주염 치료약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푸른색 꽃을 피우는 GMO 장미품종을 개발해 시판 중이다. 뿐만 아니라 GMO 카네이션 꽃 8종을 개발해 자국 내 시판은 물론 아시아 국가와 유럽연합에 수입심사를 거쳐 수출 길까지 열었다.

경 교수는 “생명공학기술은 반도체, 자동차, IT 등과 같이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이 충분한데도 현재의 국내 상황이라면 희박하다”며 “신념을 갖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막을 순 없겠지만 공익 또는 국익과 상반된다면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앙대 하상도 교수는 ‘GMO 표시 확대’에 대해서는 찬성의 입장이지만 시행시기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재처럼 GMO의 찬반논란이 뜨거운 상황에서 표시의 전면 확대는 식품산업에 Non-GMO 사용을 부추기고, 이는 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소비자만 손해 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 교수는 “GMO 곡물 수입국인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GMO 판매국인 미국의 자율표시 정책을 무조건 수용해서는 곤란하다”면서 “오히려 Non-GMO 판매국인 EU처럼 ‘전략적 표시제도’를 활용하고 범국민적 홍보캠페인을 통해 GMO를 소비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 후 표시확대를 전면화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