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수출, 신남방 정책 힘입어 사상 최대치 달성
농식품 수출, 신남방 정책 힘입어 사상 최대치 달성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0.12.09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11월까지 6.8% 증가한 68억4500만 불
태국·인니 등 13억9500만 불…일본 제치고 1위
떡볶이·면류·소스·분유·닭고기 등 두 자릿수 상승

올해 농식품 수출이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힘입어 사상 최대치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올해 11월까지 농식품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한 68억45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신남방 지역에서 작년과 비교해 8.4%가 증가한 13억9500만 달러를 기록, 처음으로 일본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실제 태국(9.8%↑), 인도네시아(4%↑), 필리핀(33.1%↑), 싱가포르(19.8%↑), 말레이시아(23.1%↑), 인도(34.7%↑) 등 대부분 신남방 지역 국가에서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어 농식품 수출을 견인하는 차세대 핵심 시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그동안 농식품부는 신남방 국가별 특성에 맞는 품목을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구축 등 수출 기반을 강화하고,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마케팅 지원을 추진해왔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정식 수요 증가와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된 배달앱(O2O) 확대로 면류(1억3800만 달러/16.1%↑), 소스류(5400만 달러/15.8%), 조제분유(2400만 달러/43.9%), 김치(800만 달러/55.2%↑), 유자차(640만 달러/160.3%)가 증가했으며, 첫 검역 타결로 수출길이 열린 베트남 단감(45.4%↑)을 비롯해 포도(34.5%↑), 닭고기(12.3%↑), 인삼(6.9%) 등 신선 농산물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 기간 한류 드라마 인기로 떡볶이·비빔밥·김치볶음밥·고추장불고기 등 한식 레시피가 유행하면 한국을 대표하는 건강식품 ‘인삼’, 메인 식재료 ‘고추장·김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즉석 떡볶이·라면’ 등이 급성장했다. 이중 떡볶이는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48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구축도 주효했다. 농식품부는 베트남·인도네시아·싱가포르 등 현지 대형유통매장과 온라인 구매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플랫폼 확대로 생산농가 및 중소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대형 유통매장 내 한국식품 상설 판매관(‘I-Like K-Food’, 공동브랜드관)을 구축하고, 현지 배달앱과 온라인 전자상거래플랫폼을 연동하는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남방 지역에서 동시에 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플랫폼(쇼피·큐텐)과 사회관계망(SNS) 쇼셜커머스를 활용해 분야별 전문 파워인플루언서와 함께 라이브 특판전 등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신남방 지역이 미국·중국·일본에 집중된 수출 시장의 다변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보고,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협정을 통해 수출 성장세를 더욱 가속화하겠다는 목표다.

RCEP 발효로 즉시 관세가 철폐되는 품목 중심으로 조기에 ‘고품질·프리미엄’ 농식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품종개발부터 상품개발, 수확 후 저장기술, 선도유지, 선별·포장개선, 항공에서 선박 전환을 통한 물류비 절감, 마케팅까지 단계별 정책으로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한류를 정책적으로 적극 활용해 한국 식품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보다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하고, 동남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한국식품 전문 판매관’을 구축해 오프라인 플랫폼과 유기적으로 연계, 국가별 시장 여건에 적합한 유망 제품의 입점과 판매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글로벌 경기 둔화, 물류 여건 악화로 우리 기업의 수출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나 국가별 전략 품목 선정과 적극적인 온오프라인 기반 구축 확대로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코로나 대응으로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활용해 보다 많은 우리 식품 기업들이 신남방에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