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할인’ 사라질까…빙과 ‘가격정찰제’ 성수기 앞두고 재점화
‘반값 할인’ 사라질까…빙과 ‘가격정찰제’ 성수기 앞두고 재점화
  • 황서영 기자
  • 승인 2021.04.07 0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뢰 회복에 업계 수익 개선 자구책…소비자 반발-유통 관행 극복 과제
반값 할인 이벤트 사라지면 가격 인상 체감
“마진율 높은 가격 거품부터 빼야”주장도
강제 사항 아냐…제도 정착에 시간 걸릴 듯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아이스크림 가격 정찰제에 대한 공방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빙과 성수기에 앞서 업계가 가격 정찰제 확대를 시도하면서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반값 할인 이벤트가 사라지며 소비자는 또 다른 가격 인상을 체감될 위기에 놓인 것. 새해부터 줄 이어진 식료품 가격 인상에 예민해진 소비심리는 이제 빙과류로 향하고 있다.

△아이스크림 성수기인 하절기에 앞서 업계가 빙과류에 대한 가격 정찰제 확대를 재차 시도하면서 이에 대한 공방이 재점화되고 있다. 가격정찰제로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반값할인 이벤트가 사라지며 또 다른 가격인상이라는 소비자, 유통업계 의견과 가격 평준화를 통한 소비자 신뢰 회복과 수익구조 개선을 내세운 빙과업계의 대립이 팽팽하다. (사진=식품음료신문DB)
△아이스크림 성수기인 하절기에 앞서 업계가 빙과류에 대한 가격 정찰제 확대를 재차 시도하면서 이에 대한 공방이 재점화되고 있다. 가격정찰제로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반값할인 이벤트가 사라지며 또 다른 가격인상이라는 소비자, 유통업계 의견과 가격 평준화를 통한 소비자 신뢰 회복과 수익구조 개선을 내세운 빙과업계의 대립이 팽팽하다. (사진=식품음료신문DB)

지난달 15일 롯데제과는 △더블비얀코 △말랑카우비얀코 △와 등 아이스크림에 가격 정찰제를 확대 적용한다고 밝혔다. 앞서 작년 10월에는 △와쿠와크와 △찰떡아이스 판매가를 1000원으로, 12월 △본가찰옥수수 △와플 바닐라 △와플 옥동자 △잇츠와플 쌀로달샌드 등 가격도 조정했다.

2018년 3월부터 국내 주요 빙과업체 4사(빙그레, 해태제과, 롯데제과, 롯데푸드 등)는 가격 정찰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며 아이스크림의 권장소비자가격을 순차적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가격 정찰제는 이런 들쑥날쑥한 가격에 낮아진 소비자의 신뢰 회복은 물론 적자를 탈출하기 위한 아이스크림 업체들의 자구책이라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나친 할인 행사로 인해 아이스크림 판매량이 줄고 제조사들의 수익구조가 악화되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기 때문에 가격 정찰제 확대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라며 “유통점포와 협의해야 하는 부분이 있겠지만 앞으로 아이스크림 성수기에 접어들면 권장소비자가격 시행 효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도 시판 중인 아이스크림의 대부분에는 가격 표시가 없고 빙과시장의 70~80%를 차지하는 슈퍼마켓 간 가격 차이는 천차만별이다. 널뛰는 아이스크림의 가격 정상화와 소비자 신뢰를 추구한다는 게 빙과업계 명분이지만 수년간 저가로 형성된 시중 가격과 시행착오에 비춰 볼 때 전망은 엇갈린다. 이제까지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슈퍼마켓 업체와 유통 업체들의 반발로 매번 정착 시키지 못했다.

소비자 반응도 대체로 부정적이다. 가격 정찰제가 사실상 가격 인상 조치와도 같다고 여기는 탓이다. 판매자가 이윤을 조금 남기고 더 많이 팔겠다는데, 이를 막으면 소비자 혜택만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이는 무조건 아이스크림 가격을 낮추자는 것이 아니라 ‘원가 대비 지나치게 마진율이 높은 가격 거품을 빼야 한다’는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권장소비자가격을 현실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는 것이 소비자들의 입장이다.

게다가 아이스크림의 큰 할인 폭을 내세워 ‘미끼 상품’으로 쓰던 판매자들의 반대도 거세다. 현장 영업사원을 통해 꾸준히 제도 도입 취지를 설명하고 점주들을 설득하고 있지만 타 업체와의 경쟁상황 때문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라는 것이 업체들의 설명이다.

이런 논란 속에서 가격 정찰제를 도입해도 권장 소비자가는 강제사항이 아닌 말 그대로 ‘권장’일 뿐 최종 판매업자가 판매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에 가격 표준화가 단기간에 이뤄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또 유통 업체와의 협상 테이블에서 가격 정찰제를 고수하기 위해선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가 강력하거나 대체 불가한 것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공방은 장기전이 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가격 정찰제를 통해 편의점, 대형마트 등 유통체인에서 할인 시 제조사가 부담하는 차액만 회복한다고 해도 수익구조 악화에 어느 정도 개선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빙과업계는 비정상적인 상시 할인 체제 고착으로 시장이 왜곡되면서 실적 악화를 거듭해왔는데, 가격 정찰제를 통해 평균 판매 가격이 상승한다면 장기적으로는 과도한 할인 납품도 줄어들어 상황 개선이 점쳐지는 것.

빙과업체 관계자는 “갈수록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는 데다 커피, 음료 등 대체재 시장까지 커지고 있는 상황에 상시 할인 체제가 고착되다 보니 왜곡된 유통구조를 바로잡는 것만으로도 실적 개선의 여지가 클 것으로 보인다"라며 “빙과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가격 신뢰가 기본이 돼야 하지만, 간단한 문제가 아닌 만큼 시간을 두고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