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대, 식품 안전 정책 변화 절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식품 안전 정책 변화 절실
  • 황서영 기자
  • 승인 2023.08.29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급망 위기에 온라인·대체육 등 부상…기후 변화 따른 로드맵 제시해야
무인매장 등 신유통 채널 식중독 방지 필요
배양육 첨가물·감염 여부 등 대책 세워야
펫푸드 기준규격 개선…정보 플랫폼 제공도

코로나19 이후 대외환경의 많은 변화가 찾아오며 식품 안전 정책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공급망의 위기로 식량가격이 상승하고, 친환경 식품과 기능성 식품 시장이 성장했으며, 1인 가구 중심으로 인구구조가 변화하면서 부족한 식품 원료와 인력을 대체하고 기후위기에 더 나은 식품을 만들기 위한 대응책으로 푸드테크가 우리의 일상으로 더욱 깊숙이 들어왔다.

소비자의 수요와 니즈 또한 더욱 복잡하고도 정밀하게 변화했다. 고물가 시대 소비에 있어 극한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사람을 뜻하는 ‘체리슈머(Cherry-sumer)’가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기업들은 MZ세대의 소비행태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제품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안전감시국 홍준배 국장은 23일 진행된 제21차 푸드 앤드 미트 커뮤니케이션 포럼(Food & Meat Communication Forum)에서 ‘일상 회복에 따른 식품안전정책 동향’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변화한 사회환경에 따라 1인 가구 및 체리슈머의 식품안전성에 더해 신유통채널인 온라인·무인판매점, 반려동물 관련 안전성 관리를 새롭게 해야 하며 기후 변화에 따른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매장, 무인 매장 등 새로운 유통채널들이 대중화되고 취급 제품도 다양해지며 식중독 방지 등 위생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홍 국장은 주장했다. 식중독은 매년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으나, 코로나 발생 이후 감소하다가 2021년부터 발생 건수 및 환자수 증가 추세로 변화됐다. 식중독 건수, 환자수 모두 음식점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학교는 발생 건수 대비 환자 발생이 많으므로 식중독 발생에 주의가 요한다고 그는 말했다.

식중독의 원인으로는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매년 꾸준히 발생중이다. 특히 식약처는 살모넬라 식중독 증가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131건, 환자수는 7400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여름철이 전체 발생의 70%가량을 차지한다. 캠필로박터 식중독도 최근 증가 중이다.

최근 떠오르고 있는 배양육에 대한 안전 정책의 변화도 촉구했다. 배양육 제품과 전통적인 육류간의 영양성분 차이와 세포배양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생물제재, 배지 조성물, 첨가물 및 보충제의 식품 안전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는 것. 또 세포 배양 과정에서 세균, 효모, 곰팡이 마이코플라즈마, 바이러스 및 내독소 등에 대한 감염여부와 세포주의 안전성, 세포주간 교차오염 문제 등도 감안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홍 국장은 강조했다.

반려동물 가정이 늘면서 반려동물 식품(펫푸드) 관련 조사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반려동물 사료 유통 및 표시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기준 규격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 또 반려동물 시장에서의 소비자 지향성 강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폐사와 질병 관련 소비자피해에 대한 조사로 보상 및 구제도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국장은 “팬데믹 이후 변화한 식품 소비 환경에 소비자가 안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환경에 대한 안전성 관리와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소비자 식품안전 의식 향상을 위한 안전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