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 없는 수박’ 등 전국 69개 특화작목 집중 육성
‘씨 없는 수박’ 등 전국 69개 특화작목 집중 육성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1.05.18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스마트 기술 개발, 생산량·소득 증대…5년간 800억 투입

오는 2025년까지 ‘씨 없는 수박’의 전북지역 점유율을 현재 53%에서 60%까지 끌어올리고, 뇌혈관질환에 좋은 약재 ‘천마’의 생산량은 444톤에서 1350톤까지 증대시키는 등 전북지역 농업 발전을 이끌 특화작목 육성이 본격 추진된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과 전라북도농업기술원(원장 박경숙)은 전북지역 농업 경쟁력 향상과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제1차 지역 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 계획’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5년간 808억 원을 투입해 8개 특화작목을 집중 육성한다고 밝혔다.

전북지역 특화작목은 △씨 없는 수박 △천마 △파프리카(대형과) △허브(로즈메리, 라벤더, 민트) △산채(고사리, 곤달비) △치유 곤충 △블루베리 △고구마이다. ‘씨 없는 수박’ ‘천마’는 국가 집중 육성 작목이다.

양 기관은 앞으로 8개 작목에 대해 신품종 육성부터 고품질 생산·재배기술 개발, 가공·유통시스템 구축, 국내외 소비시장 발굴·확대까지 다각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전북지역 대표 작목인 ‘씨 없는 수박’은 전국 재배면적의 53%(320ha)를 점유하고 있으나 주로 고온기에 생산돼 저온기에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노동력을 줄여주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저온기 수박 생산을 위한 보온관리용 스마트 소형터널 장치와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혁신을 가져올 수박 수경재배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씨 없는 수박의 전북지역 점유율을 현재 53%에서 2025년 60%로, 재배농가 소득을 현재 508만 원/10a에서 2025년 650만 원/10a로 끌어올린다. 해외 수출도 현재 5톤에서 이 기간 50톤으로 10배 늘린다.

‘천마’는 전국 재배면적의 49.1%(26ha) 점유하는 전북지역 주력 작목이지만 기상 환경이나 이어짓기(연작)로 인한 생산량 차이가 심하다. 또 특유의 냄새 때문에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건강 기능성 제품 개발도 미흡하다. 이에 비가림시설 및 스마트 팜을 활용한 연중 안정 생산기술을 구축해 천마의 전북지역 생산량을 444톤에서 2025년 1350톤으로 늘리고, 재배농가 소득도 630만 원/10a에서 1500만 원/10a로 2배 이상 높인다. 또 액상 차·음료·화장품·건강 기능성식품 등 다양한 가공 제품 개발을 통해 천마의 원료 소비 비중도 15%에서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전국 파프리카 재배면적(728ha)의 99%는 대형 과로, 대부분 수입 종자에 의존해 국내 육성 품종의 개발·보급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 국내 유일의 파프리카 전문 연구소를 보유한 만큼 ‘파프리카(대형과)’는 신품종 육성 및 ICT 활용 스마트팜 재배기술 개발을 통해 국산 종자의 전국 보급률을 0.3%(보급량 7만 립)에서 3%(70만 립)으로 높이고, 전국 파프리카 재배농가의 소득도 950만 원/10a에서 1050만 원/10a으로 향상시킨다.

‘허브’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소비 트렌트의 변화로 신선 허브의 이용이 늘고 있으며, 이에 맞춰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현재 7톤(2억 9100만 원)에 달하는 전국 허브 수입 물량을 스마트 팜을 활용한 신선 허브 연중 생산체계 구축을 통해 2025년에 3.5톤(1억 4500만 원)으로 50% 줄여나갈 계획이다.

‘산채(고사리, 곤달비)’는 고사리 표준 재배체계 확립과 고사리 추출 전분을 활용한 상품을 개발해 전북지역 고사리 재배농가의 소득을 1172만 원/ha →1550만 원/ha으로 끌어올린다. 곤달비는 친환경 생산기술 및 소비 편이 상품 개발을 통해 전북지역 재배면적을 6.2ha에서 20ha로 3배 이상 늘린다.

수입에 의존하는 ‘블루베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국내 최초 육성한 5품종을 전국적으로 보급해 국내 개발 품종의 전국 재배면적을 100ha까지 늘리고, 전국 생산액도 147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증대시킬 계획이다.

‘고구마’는 가공 용도별 우량 품종 선정 및 재배기술 설정, 노동력 절감을 위한 재배법 개선 등을 통해 생산량을 1.4톤/10a에서 1.6톤/10a으로 늘린다.

한편 농진청과 전국 9개도는 지역별 생산 기반, 연구기반, 성장잠재력 등을 고려해 총 69개의 지역 특화작목을 선정하고 2025년까지 5년간 집중 육성하는 1차 종합 계획을 추진한다.

69개 지역 특화작목 중 △경기 선인장/다육식물·버섯(느타리) △강원 옥수수·산채(산마늘, 더덕) △충북 포도(와인)·대추 △충남 인삼·구기자 △경북 참외·복숭아 △경남 양파·곤충 △전북 수박(씨 없는 수박)·천마 △전남 유자·흑염소 △제주 당근/비트·메밀 등 각 도별 2개씩 총 18개 작목을 국가 집중 육성 작목으로 지정해 연구개발과 육성정책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허태웅 농진청장은 “앞으로 지역 특화작목 집중 육성을 통해 특화작목의 시장규모화 및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고, 생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켜 농업·농촌의 특화 발전과 국가 균형 발전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