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값 올 들어 2차 인상…식음료 가격 들썩
설탕 값 올 들어 2차 인상…식음료 가격 들썩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1.07.05 0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급 부족 장기화 전망 속 맛동산 등 내달부터 10.8% 인상…제과·제빵 등 파급
연초에 가격 올린 음료 업계 소비자 저항 부담
주류 등 원자재 값 상승 반영하는 변동 불가피
물량도 부족…농식품부 물가·수급 안정 등 논의

설탕값 인상 조짐이 심상치 않다. 국제곡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에 따르면 설탕류는 전월(100.0포인트)보다 6.8% 상승한 106.7포인트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57.4% 상승했다.

뉴욕 선물시장에서는 설탕 가격이 지난 1년간 73% 올랐다. 24개 식품 원자재 품목 중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것도 설탕이었다.

주된 상승 요인은 공급 차질이다. 설탕 주요산지인 태국과 러시아 등이 작년 기후 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남미에 불어닥친 허리케인으로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등 현지 사탕수수 농장 피해가 발생한 점이 요인이다. 

특히 세계 최대 사탕수수 생산국인 브라질이 91년 만에 최악의 가뭄으로 사탕수수 수확이 줄면서 지난 4월 중순까지 사탕수수 분쇄량이 전년 동기 대비 31% 줄었다.

게다가 자동차 연료인 에탄올 수요와 가격이 오르면서 설탕 생산업체들이 사탕수수에서 원당을 뽑아내는 대신 에탄올을 추출하면서 설탕 공급량이 감소한 점도 설탕값 인상에 한 몫하고 있다.

설탕 생산업체들이 사탕수수에서 원당을 뽑아내는 대신 에탄올을 추출하면서 설탕 공급이 감소한 게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상황이 이러자 국내 설탕가격 역시 요동을 치고 있다. 문제는 설탕값의 인상은 곧 식품 전체의 가격 인상을 의미하는 만큼 향후 제과·제빵 등 식품 가격이 일제히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제당업계 한 관계자는 “설탕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에서 설탕 추출보다는 최근 가격이 상승한 에탄올 추출에 더욱 매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설탕 공급 부족 상태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상황이 지속될 경우 식품 전반에 물가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해태제과는 오는 8월부터 ‘홈런볼’ ‘맛동산’ 등 5개 제과 제품 가격을 평균 10.8% 인상한다고 밝혔고 오뚜기, 풀무원, CJ제일제당, 동서식품 등도 일제히 평균 10% 내외에서 제품값을 인상했다.

작년 말부터 올 초 사이 일제히 가격을 올린 음료업계는 고민이다. 설탕값이 앞으로도 고공행진을 할 경우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더이상의 가격 인상은 소비자 저항이 예상되는 만큼 우선은 상황을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주류도 마찬가지다. 특히 설탕이 많이 들어가는 소주의 경우 소비 민감 품목이어서 현재는 원료값 인상 폭을 짊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유통환경 변화로 영업비용은 물론 포장재를 비롯한 각종 원부자재 가격도 올라 전반적인 경영 환경이 악화되고 있지만 식품은 유독 소비 저항이 큰 품목이어서 업계에서도 (가격 인상을)쉽게 결정을 내리지는 못하는 채 가격 인상 카드만 만지작거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아직까지 설탕값 상승에 따른 제품의 구체적인 가격 인상 계획은 없지만 원재료 가격 상승분이 반영되는 하반기에는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단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인상폭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물량도 없다는 점이다. 식품 대리점 업계에 따르면 C사는 공장 셧다운으로 지난달 말부터 공급물량이 없다는 입장이고, D사는 수출 쿼터제를 이유로 물량을 풀지 않고 있다고 알려졌다.

협력업체 한 관계자는 “제당사들이 공급량이 떨어지는 설탕을 대리점에 푸는 것보다 이익실현 가능성이 높은 자사 HMR 원료로 돌리는 것 같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식품업계 수많은 대리점은 모두 도산하고 말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정부는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업계 부담 완화를 위해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세제․금융 분야 추가 대책을 반영하며 식품제조업체 원료구매자금 지원규모를 확대하는 등 금융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격 상승 부담 완화 등 단기 방안과 함께 주요 곡물 수급 안정을 위한 중장기 방안에 대해서도 업계 등 의견을 수렴하며 지속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