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칼럼(59)]식품산업의 고객만족(35)-기업의 공유가치창조(CSV)
[C.S 칼럼(59)]식품산업의 고객만족(35)-기업의 공유가치창조(CSV)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4.10.27 0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반성장 통한 공유가치 창출 시대적 요청

△문백년 대표
공유가치창조(CSV)와 동반성장은 평행곡선과 같다.

■갈 길 먼 동반성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추진 노력에 비해 국민들의 체감 인식은 많은 차이가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02년 기업당 평균 사회공헌 지출규모는 53억 8000만 원에서 2012년 144억 4000만 원으로 늘었지만 대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2001년 39%에서 2005년 38%, 2013년 36%로 오히려 떨어졌다는 통계가 있다. 사회공헌비용을 늘렸지만 기업에 대한 호감은 줄어든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기업들도 사회적 책임에서 공유가치창조(CSV)로 이동하는 추세다. 그렇다면 대기업들의 공유가치창조 추진 전략에 대해 실제 협력사들이 체감하는 동반성장 지수는 얼마나 될까?

이자심사나 기술지도차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는 중소기업 방문 시 가는 곳마다 대기업의 ‘갑질’이 형식만 바뀌었을 뿐 여전하다는 하소연을 종종 듣는다. 이는 공유가치창조에 관한 한 보고서에도 지적사항으로 명시돼 있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11년 수급기업이 모기업과 납품거래 시 겪은 애로사항(복수응답)은 여러 항목 중 납품단가 인하요구(64.4%), 원자재 가격 상승분 납품 단가 미반영(56.0%)이 가장 많았다. 이는 수급기업이 평소 모기업과의 거래에 있어 납품 단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대표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의 권익향상을 위해 협회를 창설해 대기업들의 횡포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내세운다. 물론 대기업들이 공유가치창출경영 중 동반성장을 추진하는 초창기부터 모든 협력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다. 하지만 형식만 다를 뿐 ‘갑의 횡포’가 근본적으로 근절되지 않는다면 동반성장을 통한 공유가치창조는 허공에 메아리치는 구호에 그치기 쉽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동안 정부는 ‘경제적 약자의 경쟁기반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SSM 규제, 중소기업적합업종 등과 같은 통제와 규제 중심의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제와 규제의 정책보다는 사회적 혁신 모델을 제시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보다 근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공유가치창조를 처음 주창한 하버드대 마이클 포터 교수 역시 한국 방문 시 공유가치창조에 대한 강연을 마친 후 국내 전문가와의 대담에서 우리나라 동반성장위원회가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하며, 중소기업적합업종을 지정한 것에 대해 생각을 물었을 때 그는 “동반성장지수가 상생의 실체적 현황을 잘 반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답했다.

중소기업에 독점적 시장을 보장해주는 것은 ‘윈윈’ 전략이 아닌 단순히 특정 기업에 기회를 몰아주는 것일 뿐이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성공을 원한다면 경쟁력 약화의 근본 원인부터 해결해야 한다. 기술력 부재, 생산 프로세스의 취약성, 과도한 관료주의, 부실한 교육 등이 그것이다.

물론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렇지만 아쉽게도 동반성장위원회는 돈을 줘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아주 손쉽고 단기적인 해법을 선택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활력을 위해 근본적인 문제에 집중하길 바란다’고 했다는 것은 우리나라 정책입안자들과 대기업 오너들 그리고 전략기획본부 임원들이 한 번쯤은 깊이 곱씹어야 할 점이라 본다.

통제나 규제 정책보다 사회적 혁신 모델 절실
SSM 제한·中企 적합업종 등 ‘윈윈 전략 ’ 못 돼
포터 교수 “경쟁력 약화 등 근본문제 개선해야”  

■동반성장과 함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젊은 층의 실업문제와 정년퇴직이나 명예퇴직 등으로 쏟아져 나오는 은퇴 세대들의 실업문제는 심각한 문제다.

공유가치창조 영역에서 동반성장이 중요한 것은 대기업에 쏠려있는 경제력 집중도가 실질적인 동반성장을 통해 협력 중소업체들에게 자연스럽게 분배되고 경쟁력이 향상돼 점진적 실업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열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기업들이 사업의 근간을 국내에서 일궈 성장한 만큼 이제는 단기간의 수익성 때문에 제3국에 대규모 공장을 설립하고 10만여 명이 넘는 막대한 인력을 고용하는 정책보다 국내 협력 중소업체들과의 동반성장을 통해 공유가치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기업에 대한 현 시대의 요청이라 할 수 있다. 글로벌 경영에서 정책을 갑작스럽게 바꾸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신규사업구상 또는 사업시작단계에서부터 고민하는 것을 권하는 것이다.

기업 이익에 기여하는 주체가 소비자이고, 그 소비자 구성원들의 생활이 어려워지는 것은 기업에게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와 그들의 생활 터전이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궁극적으로 기업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CSV의 핵심이다.

즉 대기업의 동반성장 추진 전략이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때 국내 소비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소비활성화, 이를 통한 경제 성장이 우리 모두의 살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