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칼럼(105)]소비자교육의 중요성⑦-중고등학교의 소비자 교육
[C.S 칼럼(105)]소비자교육의 중요성⑦-중고등학교의 소비자 교육
  • 식품음료신문
  • 승인 2015.11.09 0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능력 중심 사회선 전인 교육의 일부
핀란드 등 선진국 학생·교사 필수 과목
△문백년 대표(식품정보지원센터)
수능의 계절이 돌아왔다. 우리나라는 필요 이상의 고학력 사회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은 고학력자들이 아니다. 신입사원이 입사하면 아무리 고학력자라고 해도 처음부터 직무능력 교육을 일정기간 동안 받지 않으면 산업현장에서 쓸모가 없다.

이러한 고학력 실업문제와 치열한 입시경쟁을 위해 지출되는 과도한 사교육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현장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해 표준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했다.

현재 여기에 맞춰 각 분야별 학습모듈 집필이 진행 중이다. 이는 인적자원개발의 핵심으로 기업체, 교육훈련기관, 자격기관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그러나 정작 정부부처에서는 능력 중심보다 학벌, 학위 위주의 선발사례가 많다. 진정한 능력중심 사회를 만들겠다는 정부부터 이러한 선발방식을 탈피하지 않는다면 정권 교체 시 흐지부지 될 이벤트성 정책에 그치기 쉽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치열한 입시경쟁에 시달려 정말 중요한 교육을 소홀히 하는 측면이 있는 것은 않은지 짚어봐야 할 때다.

소비자 교육은 단순한 경제교육이나 상품 구매에 관한 정도가 아니다. 생활 전반에 관한 전인적 교육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생활에 필수적인 의식주 정보와 올바른 선택, 건강과 안전, 건전한 경제적 생활, 경제주체로서 의식과 의무, 권리 등 다양한 교육 내용이 포함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노르웨이의 경우 초등학교 과정에 소비자 교육이 필수 과목이며, 덴마크는 교사연수 과정에 소비자 교육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했다.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서다.

우리 교육당국과 정치권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유리한 국사 교과서만 가지고 떠들 것이 아니라 전인적 교육에 해당하는 소비자 교육에 역사교과서 절반이라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육정책이 거듭 번복되는 것은 문제다. 의식주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정보 획득, 구매의사 결정, 불만 발생 시 클레임 제기방법 절차 등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부터 소비자 관련법, 각 상품별 관련법, 환경에 관한 내용 등 국민생활과 직결된 소비자 교육이 중요하지만 막상 교육당국과 정치권에서는 이를 소홀하게 여겨 매우 유감스럽다.

해가 갈수록 자가생산 소비는 줄어들고 대부분 생활필수품을 시장에서 구매·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올바른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금부터라도 선거 및 정치와 무관하지만 국민 생활에 꼭 필요하며, 전 생애에 걸쳐 중요한 소비자 교육에 대한 관심과 개선을 주문하는 바다.

소중한 것이 긴급한 것들에 의해 밀린다고 해서 그 소중함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소중한 것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살아가는 삶이 진정으로 가치 있는 삶을 사는 것이다. 이러한 소중한 소비자교육을 귀히 여기고 비중을 둬 진행하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국민을 섬기는 길이며,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임을 명심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