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가공식품 활용으로 쌀 공급 과잉 해소 가능
쌀가공식품 활용으로 쌀 공급 과잉 해소 가능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2.11.07 1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밥쌀용 줄고 가공용 소비는 급증…정부 지원 땐 가공 산업 세계적 경쟁력
가공용 쌀 적정량-일정 가격 공급 보장돼야
생산서 다양한 용도 소비 중심 정책 시급
가공 적성 개선하고 분질미 사업 활성화도
한국식품산업진흥포럼 ‘국산 쌀 가공 및 이용 확대를 위한 전문가 토론’ 개최

한해 약 30여 만톤의 쌀이 남아돌며 식량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 가운데 더 이상 쌀을 밥쌀용으로만 한정된 소비처를 고수하기 보다는 최근 국내외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쌀가공식품을 적극 활용하는 합리적인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비상한 주목을 끌고 있다.

정부에서 쌀 소비 확대 방안으로 중점 추진 중인 분질미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트렌드에 부합하는 쌀가공식품 R&D와 정책적 지원, 전문적인 홍보·마케팅이 뒷받침된다면 남아도는 쌀 문제도 해결되는 것은 물론 우리 쌀가공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조상현 부장
△조상현 부장

4일 양재동 aT센터에서 한국식품산업진흥포럼 주최로 열린 ‘국산 쌀 가공 및 이용 확대를 위한 전문가 토론’에서 조상현 쌀가공식품협회 부장은 식량안보 차원의 쌀 생산기반 유지와 수급관리를 위한 쌀 소비 확대의 유일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쌀가공식품산업의 발전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이며, 이를 위해서는 쌀 생산 중심의 정책에서 쌀 소비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부장은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1인당 연간 밥쌀 소비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쌀가공식품의 가공용 쌀 소비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쌀 공급과잉은 소비급감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인 만큼 가공용 쌀 소비 확대로 공급과잉을 해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단 조 부장은 이를 위해 선결조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재 쌀가공식품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 부장은 “국내 쌀가공식품산업은 가공원료의 가격 및 물량 공급의 안정성 확보 여부에 따라 성장과 침체를 반복한다. 쌀가공식품은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식품산업 중 핵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정부의 가공용 쌀 공급정책은 재고미 처분 산업군으로 인식되고 있다. 원료 쌀의 정부 의존도가 높다보니 정책 변화에 따른 원료 수급 예측 어려움으로 시설 투자 및 제품개발에 위축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한 쌀의 대체재인 밀가루에 비해 가공적성이 떨어지고, 가격경쟁력이 취약해 시장 확대에도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조 부장은 쌀가공식품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가공용쌀을 주식용과 같은 우선순위로 수급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원료 공급체계 및 방식의 선진화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실수요업체가 원하는 품질의 가공용쌀 공급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고, 밀가루와의 가격경쟁력 확보는 물론 가공용쌀 품질 제고 및 가공용쌀 안정공급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도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조 부장의 주장이다.

△신동화 회장
△신동화 회장

신동화 한국식품산업진흥포럼 회장은 “쌀 소비량 감소는 인구가 줄고, 서구화된 식습관이 보편화되며 더 이상 주식이 쌀이 아니라는 시대상황을 맞아 발생하는 필연적인 현상이다. 그렇다고 유일하게 국내에서 자급이 가능한 쌀의 생산량을 줄인다면 식량안보와도 직결돼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생산되는 쌀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소비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밥쌀 외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신 회장은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분질미 사업이 활성화돼 밀가루를 쌀가루로 대체한다면 밀 수입량이 감소돼 쌀 소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이를 위해서는 쌀 품종을 계속 계량해 분질미가 가공적성에 맞도록 특성을 개선해야 하고,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쌀가루 가격의 보진제 도입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회장은 “벼 수매 비용에 도정, 제분 비용까지 추가될 경우 밀가루 가격과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이 가격 차이를 업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까지 조정하기 위한 지원 방법이 제시돼야 한다. 잉여미의 저장비용과 고미로 인한 가격하락 등을 감안하면 상당수준 자금 동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가공용 쌀의 안정적 공급 보장이다. 그동안 정부가 가공용 쌀 공급을 약속했다가 쌀 수확량이 감소하면 가공용 쌀 공급을 중단한 것을 지적한 것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일정 가격으로 가공용 쌀을 공급할 수 있는 법적 뒷받침이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 신 회장의 주장이다.

신 회장은 “이러한 선결 조건이 갖춰진다면 업계에서도 생산된 쌀가루를 사용한 제품 개발이 활발해 질 것이다. 쌀가공식품은 가격과 식미만 맞으면 다른 곡류에 비해 오히려 쉽게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남아시장 및 글루텐에 민감한 해외 소비자 수요를 겨냥한 수출도 가능하다”며 “국방에 버금가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쌀의 생산은 계속되는 것이 옳다. 단 합리적인 이용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쌀의 다양한 용도 개발이 식량안보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