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펫푸드 수출의 기회-제이 리(Jay Lee)의 미국 통신(121)
K-펫푸드 수출의 기회-제이 리(Jay Lee)의 미국 통신(121)
  • Jay Lee
  • 승인 2024.02.20 0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황 타격 적게 받는 분야…수입 2조5000억 원 규모
해썹 수준 위생·기록에 영문 패키징으로 디자인해야
육류 제품 허가 필요…신뢰 확보에 안전성·가성비도
△이종찬 J&B Food Consulting 대표
△이종찬 J&B Food Consulting 대표

최근 들어 필자에게 펫푸드에 관한 미국 수출 문의가 늘고 있다. K-푸드가 봇물이 터지듯 하는 가운데 한국산 펫푸드도 미국 시장을 두드리고 있는 것이다.

미국 펫푸드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580억 불(한화 약 75조) 규모로 매년 5.8%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중에 개, 고양이 식품은 약 2억 불(약 2.5조)이 해외에서 수입된 제품이다. 미국에 수출하는 메이저 3개국은 캐나다와 태국, 중국으로, 이제는 K-푸드가 어느 정도 알려져 있기에 동물용 식품에도 K-펫푸드의 열풍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미국 가정의 약 70%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문화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은 각별하다. 동물을 데려갈 수 있는 식당이 많고, 장애인을 위한 안내견일 경우에는 어디든 동행할 수 있다. 필자도 개를 키우는 견주로서 강아지 사료 및 간식, 미용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그리고 어느 정도 중산층 이상이 키우는 비율이 높다 보니 불황이 와도 상대적으로 덜 타격을 받는 것 같다.

미국 반려동물은 종류도 많다. 개, 고양이 외에도 파충류, 새, 물고기, 토끼, 햄스터 등 무궁무진하며 거기에 들어가는 사료와 간식만 해도 어마어마한 종류가 있다. 그렇기에 반려동물을 위한 먹거리와 용품을 판매하는 대형 전문점이 곳곳에 있으며, 웬만한 일반 식품매장 못지않은 규모다.

펫푸드를 고를 때도 사람이 먹는 식품처럼 성분을 확인하고, 동물에게 좋은 유기농이나 Non-GMO, 식물성, 제철 재료 등 사람이 먹는 것처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 자식처럼 꼼꼼히 건강을 챙기는 젊은 소비층에게 어필되는 프리미엄 제품 구매도 늘어나고 있다.

펫푸드 미국 수출을 위해선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다.

한인들이 소비하는 일반식품의 경우 필요한 영양 정보를 간단한 영어 스티커로 부착해 수출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주류시장을 타깃으로 펫푸드를 수출하려면, 미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영문 패키징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동물용 식품에 대한 미국 법규도 이해해야 한다. 미국 식품안전화현대화법(FSMA)의 발효로 동물용 식품에 대한 예방통제 규정이 생겨 사람이 먹는 수준의 HACCP을 요구하는데, 이에 대한 위해요소 분석과 통제, 서면 기록 등이 필요하다.

또한 육류가 들어간 제품들은 미국 농무부의 특별한 허가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산 육류의 경우 수출이 제한되는 소고기, 돼지고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요즘은 중소기업들도 아마존을 통해 수출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다양한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해 시장을 공략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해외 제품은 신뢰성 확보가 어렵기에 신뢰 부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특히 동물용 식품의 경우 가격보다 품질 안전성과 기능성, 특이성, 프리미엄 등 고급화와 가성비가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펫푸드 시장에도 한류를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